[알리·테무發 경제전쟁]① 한국 내수 삼키는 '초저가 괴물'…"이러다 다 죽어"
e커머스 넘어 실물경제도 위협…"정부대응·소비자 경각심 절실"
[편집자주] '알테쉬'(알리익스프레스·테무·쉬인)로 불리는 중국 e커머스가 주도하는 '차이나 덤핑'이 한국 경제를 흔들고 있다. 품질과 안전을 보장하지 못한 염가 공세에 소비자는 무방비로 노출됐고 소상공인은 생존 위협에 처했다. 산업 전반에 걸쳐 '경제 전쟁'으로 번질 것이란 위기의 목소리도 나온다. 국가적인 피해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정부의 신속하고 엄중한 대처는 물론 개인의 인식 변화가 절실한 시점이다. C커머스의 실태와 문제점, 대응 방안 등을 집중적으로 살펴봤다.
(서울=뉴스1) 서미선 기자 = 한 해 매출 규모만 2조 원 수준인 산업용재 시장이 휘청이고 있다. 올 들어 지난해 대비 약 30% 매출이 급감했다. 연간으로는 약 6000억 원이니 시장 자체가 쪼그라들고 있다는 앓는 소리도 무리가 아니다.
이 시장에선 산업현장에 필요한 용재와 공구, 철물, 벽돌, 모래 등을 취급한다. e커머스와 연관성이 없어 보이지만 업계는 이런 현상이 국내 시장에서 활개를 치고 있는 중국 e커머스, 즉 'C커머스' 영향이 적잖다고 호소한다.
알리익스프레스·테무 등에서 '터무니없는' 초저가에 전동 드릴, 공구 세트 등을 사는 소비자가 늘고 있기 때문이다.
설립 56년 차 공구 수입·유통업체 '프로툴'을 운영하는 송치영 한국산업용재협회 회장은 "이대로라면 만신창이 상태로 버티다 폐업을 택하는 공구 제조사와 판매업자가 많아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C커머스의 초저가 공습이 국내 e커머스 업계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는 점을 여실히 보여주는 대목이다.
◇中 기업 의존도 높아질 경우 국가경쟁력 약화 우려도
중국에 진출했던 한국 기업들은 중국 정부의 규제 직격탄을 맞으며 속수무책으로 줄줄이 철수했다. 이와 대비되게 C커머스는 국내 시장에서 '규제 사각'을 누리며 몸집을 급속도로 키우고 있다.
중국에서 물건을 떼다 중간이윤을 붙여 국내 e커머스에서 팔던 판매자들은 직접적으로 타격을 받고 있다. 애초 중국 내 제조원가가 낮고 150달러 이하 직구는 품질인증이 필요 없다. 관세와 부가세도 면제돼 어떤 업계든 가격으로는 경쟁이 어렵다.
국내법에 따라 통관 인증 등 다양한 절차를 밟는 국내 소상공인과 중소기업과 달리 C커머스 업체들은 이런 비용을 들이지 않는 것도 가격 차이의 주요 원인 중 하나다.
최근 중소기업중앙회 조사에 따르면 중소기업 80.7%는 중국 직구가 매출 감소에 영향을 미치거나 미칠 것으로 우려된다고 응답했다. 지금은 서서히 시장을 잠식 중인 수준이나, 속도가 붙을수록 한국경제 엔진인 중소기업의 설 자리는 좁아질 수밖에 없다.
C커머스의 국내 유통 시장 침투는 제조와 물류, 금융 등 산업 전반에 대한 장악으로 이어질 우려가 크다. 이처럼 국내 산업의 중국 기업 의존도가 높아지면 출혈 경쟁과 함께 국가경쟁력이 약화할 가능성도 있다.
C커머스가 수집한 개인정보가 중국 국가정보법에 따라 중국 당국에 넘어갈 수 있다는 우려도 지속해서 제기된다. 데이터가 돈이고 곧 권력이 되는 시대에 빅데이터 활용은 중국의 국가전략이기도 하다.
미국과 유럽 등 해외에선 이미 C커머스 규제가 본격화되고 있다. 중국의 자국 기업에 대한 과도한 보조금 지급, 저가 생산품 밀어내기 수출 등이 시장 질서를 무너뜨릴 수 있다는 문제점을 인식한 데 따른 움직임이다.
◇개인의 소비 행태·인식 변화 절실
개인정보의 경우 미국과 유럽은 유출 논란에 따른 국가안보 위협 등 이유로 중국 동영상 플랫폼 '틱톡' 규제를 강화하고 있다.
한국 정부도 해외사업자의 국내 대리인 지정 의무화 등 대책을 내놓고 있지만 업계는 현행법상 집행 실효성에 의구심이 든다는 반응이다.
고물가에 한 푼이라도 저렴한 상품을 찾는 건 좋지만 '밑져야 본전' 식으로 소비하며 그 피해 역시 소비자가 받게 되는 것도 문제다. 지난해 한국소비자연맹에 접수된 알리 관련 불만 건수는 465건으로 전년 대비 5배 뛰었다.
그럼에도 '10개 사서 5개 건지면 성공' 식의 소비심리가 퍼지며 '알리깡', '테무깡'이라는 신조어까지 생겨났다. 이는 저품질 일회성 제품 양산뿐만 아니라 쓰레기 증가, 유해 제품 확산을 부추기는 소비 행태로 개인의 인식 변화가 절실하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강준영 한국외대 중국학 교수는 "정부가 중국에서 들어오는 물건들에서 유해 물질이 검출되는 등 하자가 있는 경우 정확히 알릴 필요가 있다"며 "소비자 애국심에 호소하는 것은 한계가 있지만, 그냥 싸다고 사다 보면 결국 경제가 끌려가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smith@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 "불륜 추정 중년 남녀, 가게 탈의실 같이 들어가려 해…면티 산 후 '스타킹 버려달라'고"
- 불면증 여친에 6시간 동안 프로포폴 20번 놔준 의사…여성 사망 공분
- "배달된 생간 먹고 속 울렁울렁, 응급실 갔다…업주는 '왜 환불?' 화내더라"
- 진시몬 "막내 아들, 외국서 혼자 있다 심장마비 사망…임종 못해" 눈물
- 女초등생 집단폭행 뒤 성추행도…포천 중학생들 "돈 주면 되잖아요" 뻔뻔
- 김병만 전처 "사망보험, 자필 서명 받고 가입…파양비 요구 안 했다"
- "4번 외도 후 가출한 전남편, 돌아와서 오열…상간녀 못 잊겠다고"
- 서울 유명 한식당 천장 '와르르'…손님 머리에 떨어져 뇌진탕[CCTV 영상]
- 친정엄마와 산책 중 남편 외도 목격…母, 현장서 심장마비 사망
- 이천수 "뉴스룸서 은퇴 발표 후 '20억 줄테니 오라'…이미지 탓 번복 못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