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갱단 무법천지' 아이티 총리 사임…공백 메울 과도위원회 출범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 2021년 카리브해 섬나라 아이티에서 발생한 대통령 암살 사건 후 아이티 정부를 이끌었던 총리가 사임했다.
아이티 총리실은 엑스(X·옛 트위터)에 앙리의 서명을 담은 사직서 사진을 올렸다.
앙리 전 총리는 이 나라 리더십 공백을 메우고 무너진 질서 회복의 첫 단추를 끼우는 역할을 할 과도위원회 출범에 맞춰 자리에서 물러난 것이라고 AP는 전했다.
의사 출신인 앙리는 조브넬 모이즈 대통령 피살(2021년 7월 7일) 이틀 전 총리로 지명됐던 인물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멕시코시티=연합뉴스) 이재림 특파원 = 지난 2021년 카리브해 섬나라 아이티에서 발생한 대통령 암살 사건 후 아이티 정부를 이끌었던 총리가 사임했다.
아리엘 앙리(74)는 25일(현지시간) 공식적으로 사직서를 내고 총리직을 내려놨다고 AFP·AP통신이 이날 보도했다. 이는 이 나라 관보 '르 모니퇴르 아이티앙'에 게시됐다.
아이티 총리실은 엑스(X·옛 트위터)에 앙리의 서명을 담은 사직서 사진을 올렸다. 이 문서는 전날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작성된 것으로 돼 있다.
앙리 전 총리는 이 나라 리더십 공백을 메우고 무너진 질서 회복의 첫 단추를 끼우는 역할을 할 과도위원회 출범에 맞춰 자리에서 물러난 것이라고 AP는 전했다.
아이티 과도위원회는 투표권을 가진 7명의 위원과 2명의 참관인 등 9명으로 꾸려졌다. 임기는 2026년 2월 7일까지다.
위원들은 또 2026년께 대통령 선거를 치를 수 있도록 법적·행정적 준비 작업을 하는 한편 갱단 억제를 위한 국제 경찰력 파견 지원 논의에도 나선다.
과도위원회 활동 시기 임시 정부 총리 권한대행은 파트리크 부아베르 경제재무부 장관이 맡을 예정이다.
의사 출신인 앙리는 조브넬 모이즈 대통령 피살(2021년 7월 7일) 이틀 전 총리로 지명됐던 인물이다.
모이즈 대통령 타계 후 클로드 조제프 전 총리와 정치적 갈등을 빚었으나, 유엔 등 국제사회 지지를 등에 업고 같은 해 7월 20일 총리에 취임했다.
그러나 대통령 암살 사건에 연루돼 있다는 의혹으로 검찰 수사선상에 오르는 등 임기 초반부터 흔들렸고, 이 나라에서 기승을 부리던 갱단 단속에 손을 놓으면서 신뢰를 크게 잃었다.
2016년 이후 선거를 치른 적 없는 아이티에는 대통령과 국회의원 등 선출직 공무원이 전무하다.
수도 포르토프랭스의 70∼80%를 장악한 것으로 알려진 갱단은 공항과 항구를 비롯한 주요 인프라와 도심 곳곳을 쑥대밭으로 만들며 살인·약탈·성폭행·납치 등 범행을 이어가고 있다.
치안 악화 속에 미국과 한국, 유럽연합(EU) 회원국, 멕시코와 쿠바 등 주변국은 외교관과 자국민 등을 인근 국가 또는 모국으로 대피시키고 있다.
아이티 유엔사무소(BINUH)는 최근 보고서에서 1∼3월 아이티에서 2천500여명이 숨지거나 다쳤는데, 이는 2023년 10∼12월보다 50%이상 증가한 수치라고 밝혔다.
walden@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배터리 불붙을라…기내 휴대폰 분실에 비행기 돌린 佛항공사 | 연합뉴스
- 때아닌 눈인데 색깔도 낯설다?…수도권서 '검은 눈' 목격담 | 연합뉴스
- [르포] 최초 발화지 다시 가보니…버려진 라이터·그을린 흔적 | 연합뉴스
- "사랑해요" 사고 전날이 마지막…헬기 순직 조종사 아내 오열 | 연합뉴스
- [샷!] "불 번지는데 '17년지기' 혼자 둬 너무 불안" | 연합뉴스
- "내 딸 때렸어?" 아동 세워놓고 추궁한 30대…학대죄 될까 | 연합뉴스
- '종교 전도 받아 집 드나든 건데…' 스토커 몰린 60대 무죄 | 연합뉴스
- 아시아나 필리핀발 인천행, 기장이 여권 잃어버려 15시간 지연 | 연합뉴스
- 김동연, 文소환 통보에 "기가 찰 노릇…검찰, 누구에 충성하나" | 연합뉴스
- "산불감시원 퇴근 시간 다 알아"…대형산불에도 불법 소각 여전 |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