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결혼 축의금 안 낸 친구 모친상…"모임서 볼 텐데 조의금 줘야 하나"

김송이 기자 2024. 3. 18. 11:39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애매한 친구 사이의 부조금을 고민하는 사연이 전해졌다.

이어 "대화방에 있는 다른 친구들은 조의금을 보냈다고 하는데 나도 보내야 하냐"고 물으며 "안 보낼까 하다가도 다음 모임에서 얼굴 보면 불편할 거 같기도 하고, 내가 조의 안 보내면 그 친구랑 똑같은 사람 되는 거 같기도 하고 어떡해야 할지 모르겠다"고 고민을 토로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사진은 기사 내용과 무관함) / 뉴스1 ⓒ News1

(서울=뉴스1) 김송이 기자 = 애매한 친구 사이의 부조금을 고민하는 사연이 전해졌다.

최근 직장인 익명 커뮤니티 '블라인드'에는 직장인 A 씨가 '축의금 못 받았는데 조의금 줘야 하나'란 제목의 글을 올렸다.

A 씨는 "단체 대화방에 있는 친구 한 명이 어머니 돌아가셨다고 부고 카톡을 올렸다"며 "근데 이 친구는 나 결혼할 때 축하한다고 인사도 안 하고 축의도 안 했다"고 상황을 설명했다.

이어 "대화방에 있는 다른 친구들은 조의금을 보냈다고 하는데 나도 보내야 하냐"고 물으며 "안 보낼까 하다가도 다음 모임에서 얼굴 보면 불편할 거 같기도 하고, 내가 조의 안 보내면 그 친구랑 똑같은 사람 되는 거 같기도 하고 어떡해야 할지 모르겠다"고 고민을 토로했다.

누리꾼들의 의견은 엇갈렸다. 부조를 안 해도 된다는 이들은 "결혼 축하 인사도 없었으면 그냥 관계없는 사람 아니냐", "안 해도 된다. 나는 그런 사람 서로 품앗이 안 하는 관계로 정의한다", "위로 메시지 보내고 애도만 해주면 된다", "부조해 줘도 나중에 기억도 못 할듯, 하지 말자"고 말했다.

반면 한 쪽에서는 축의는 안 챙겨도 조의는 챙기는 게 좋다는 의견이 쏟아졌다. 이들은 "안 좋은 일 당했다는데 너무 계산적으로 살지 말자", "나라면 어머니 잃은 게 안쓰러워서 할 것 같긴 하다. 돌려받을 생각은 없음", "아예 손절할 생각 아니면 조의는 내 덕 쌓는다 생각하고 하는 게 좋다", "고민이 되는 정도라면 조의는 하는 게 낫다고 본다. 그게 마음 편할 거다" 등의 의견을 남겼다.

syk13@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