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트먼 “AI 반도체 자체 개발” 투자 유치 나섰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가 인공지능(AI) 반도체 자체 개발·생산을 위한 대규모 투자 유치를 시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올트먼은 글로벌 반도체 기업들과 협력해 AI 반도체 생산 네트워크 구축도 추진 중이다.
20일(현지시간)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올트먼 CEO는 AI 반도체 벤처기업 설립과 관련해 아랍에미리트(UAE) 등 중동의 투자자들과 투자 유치를 협의 중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중동 투자자·TSMC 등 협의 중
인텔·삼성전자도 잠재적 파트너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가 인공지능(AI) 반도체 자체 개발·생산을 위한 대규모 투자 유치를 시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올트먼은 글로벌 반도체 기업들과 협력해 AI 반도체 생산 네트워크 구축도 추진 중이다. 고성능 그래픽처리장치(GPU) 등 AI용 반도체 수급이 원활하지 않은 상황에서 ‘챗GPT의 아버지’가 또 다른 사업 기회를 찾아 나선 모습이다.
20일(현지시간)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올트먼 CEO는 AI 반도체 벤처기업 설립과 관련해 아랍에미리트(UAE) 등 중동의 투자자들과 투자 유치를 협의 중이다. 그는 세계 1위 파운드리(위탁생산) 업체 TSMC와도 논의 중이라고 FT는 전했다. 블룸버그통신은 올트먼이 반도체 팹(제조 시설) 설립에 필요한 자금 조달을 위해 아부다비의 AI 업체 ‘G42’와 일본 소프트뱅크 그룹과 접촉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블룸버그는 “인텔, TSMC, 삼성전자는 오픈AI의 반도체 네트워크 프로젝트의 잠재적 파트너”라고 덧붙였다.
올트먼의 논의 상대 중에는 무함마드 빈 자예드 알 나흐얀 UAE 대통령의 동생인 타흐눈 빈 자예드 국가안보 고문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는 아부다비에서 가장 부유하고 영향력 있는 인물로 꼽히며, G42에도 대규모 투자를 하고 있다. 업계에선 최첨단 반도체 팹 설립에 많게는 수백억 달러의 자금이 필요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올트먼의 투자 유치 배경에는 AI 반도체의 공급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는 상황이 있다. 생성형 AI 열풍은 챗GPT 등 AI 서비스가 이끌었지만 직접적인 수혜는 엔비디아, TSMC 등 AI 반도체 개발·생산 업체들에 집중되고 있다. 그는 지난해 10월 월스트리트저널(WSJ) 주최 행사에서 “범용 AI라는 궁극적 목표를 위해 앞으로 칩을 개발해야 할 수도 있다”고 밝혔다.
AI 반도체에 방점을 찍은 올트먼의 행보는 과거 해임 논란의 한 원인으로 지목됐다. 그는 지난해 11월 중동 지역을 다니며 회사 설립을 위해 수십억 달러의 투자금 유치를 시도했다. 당시 이 같은 올트먼의 ‘독자적 행동’은 이사회와의 관계를 틀어지게 만든 이유로 해석됐다.
조민아 기자 minajo@kmib.co.kr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Copyright © 국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꿈쩍도 않네’ 재건축 패스트트랙에도 집값 요지부동
- ‘가슴 만지며 활짝’... ‘인증샷’ 공유한 국민의힘 시의원
- 임혜동, 류현진에게 “성적 수치심” 협박…3억 받아내
- 한동훈 ‘김건희 명품 의혹’ 관련 “대통령실과 갈등 없다”
- 반도체 등 국가 핵심기술 해외 유출 땐 최대 징역 18년 가능
- 마돈나 또 지각 공연… “양심 없나” 뿔난 관객에 피소
- 美 틱톡서 유행하는 ‘쥐 스낵’ 레시피… 재료는?
- 5만원 5장 찢어 6장… 지폐 연금술의 최후 “징역 3년”
- “인스타·페북서 성희롱 피해 어린이 매일 10만명”
- ‘우회전 일시정지’ 1년…현장은 여전히 혼란 “헷갈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