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날씨는 처음”…눈덮인 남극에 반바지 차림 등장했다
지난해 남극 일부 지역의 기온이 평년보다 39도 더 높이 치솟는 등 이상고온 수준이 지국 신기록이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24일(현지시각) 미국 워싱턴포스트(WP)에 따르면 미국 워싱턴대학교의 지구과학자 에드워드 블랜처드-리글워스가 이끄는 연구팀은 지난해 3월 남극 기온을 조사한 이 같은 보고서를 미국 지구물리학회(AGU) 회보에 게재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3월 남극 동부 해안에서 기록된 기온이 평년보다 무려 섭씨 39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남극에서 3월은 계절이 가을로 바뀌는 시점으로 평년기온은 영하 약 54도였지만 지난해 3월18일 평균기온은 영하 15도로 나타났다. 최고기온은 한때 영하 10도까지 치솟기도 했다. 이는 남극에서 한여름 동안 기록된 최고기온보다도 높은 수치다.
당시 남극에 있던 연구원들은 비교적 온난한 날씨를 누리기 위해 웃통을 벗거나 반바지 차림으로 다니기도 했다고 WP는 전했다.
블랜처드-리글워스는 “괄목할 사건”이라며 “이상기온의 정도가 세계 다른 어떤 곳에서 측정된 것보다 컸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지난해 남극에서 관측된 이상기온이 지구온난화보다는 남극의 날씨 자체의 변덕성이 원인이라고 봤다. 그러면서 이번 이상고온은 당시 일상적이지 않은 바람에서 시작됐다고 설명했다.
일반적으로 남극 주변 바람은 서쪽에서 동쪽으로 불어 북쪽에 있는 온기를 차단해 낮은 기온을 유지하는데, 당시 바람이 길을 잃으면서 불과 4일만에 호주 남부의 따뜻한 공기가 유입됐다는 것이다.
블랜처드-리글워스는 “아마도 단기간에 (공기가) 그렇게 빨리 이동한 것은 그때가 아마 처음이었을 것”이라고 했다.
다만 연구팀은 이 같은 이상기온이 극지에서 발견된 건 특별한 이상 현상은 아니라고 지적했다.
글로벌 기상관측 자료와 컴퓨터 가상실험 결과에 따르면 정상 수준을 크게 벗어난 기온은 고위도에서 일어난다. 위도 48도 아래에 있는 지역에서는 이처럼 큰폭의 기온변화는 발생하지 않았다.
브랜처드-리글워스는 높은 위도에서는 더운 공기에 밀려날 찬 공기가 많기 때문에 기온급변이 발생한다고 설명했다. 눈과 얼음이 많은 고위도 지역에서는 흔히 지면 가까운 곳의 기온이 낮고 상층부의 기온이 높은 ‘역전층’(inversion layer)이 형성된다. 겨울철 이 역전층이 강하게 나타나 따뜻한 공기가 갑자기 내려오면 지면의 차가운 공기를 밀어내 이상고온 현상이 발생한다.
이번 연구에서는 기후변화가 남극의 이상고온 현상에 미치는 뚜렷한 영향을 찾지 못했다.
다만 기후변화가 남극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계속 조사중이다. 연구팀은 온실가스 배출량 증가 여부에 따라 컴퓨터로 모델 분석을 한 결과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섭씨 2도 정도 증가시키는 것을 발견했다. 또 향후 기후변화가 남극의 온도를 섭씨 5~6도까지 증가시킬 수 있다고 우려했다.
브랜처드-리글워스는 “만약 5~6도가 더 높아진다면 녹는점에 가까워지는 것”이라며 “만일 이런 폭염이 더 흔해진다면 우리가 예상하지 못한 결과가 나타날지도 모른다”고 했다.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Minute to Read] S. Korea and US finalize tariff deal, cut set to 15%
- 러시아 ‘핵 위협’ 도발에… 트럼프 “핵잠수함 두 대 배치 명령”
- [모던 경성]北 요덕수용소에서 숨진 1930년대 인기 가수 강홍식
- 청바지의 귀환...리바이스, 유럽에서 질주하는 까닭은
- 켜 놓고 잤더니 모기 사체가 한 가득, 한결 편안해진 잠
- 우연? 고의? 허벅지에 자꾸 손 올리던 女임원, 알고보니 [이별전쟁]
- 무더위 잊게 만드는 생 메밀 소바, 6인분에 9900원 초특가
- 남성용 올인원 화장품, 2만원대 가성비로 만들었더니 47만개 판매 대박
- ‘어육 90% 밀가루 0%’ 조봉창 명인 어육바, 1개 800원 초특가 공구
- [단독] “통일교 측, 김 여사에게 3차례에 걸쳐 샤넬백 2개·그라프 목걸이 전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