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수당 최대 월 247만원…"저출산 극복 이렇게" 독일은 지금
[편집자주] 합계출산율(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하는 평균 출생아 수)이 0.78명으로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회원국 내 최하위권으로 떨어진 우리나라와 달리 최근 들어 1.5명대를 꾸준히 유지하고 있는 독일과 스웨덴의 비결은 무엇일까. 아이를 낳고 양육하는게 혜택이 더 크고 행복하다는 두 나라엔 공통적으로 탄탄한 가족정책과 성평등 인식이 자리잡은지 오래다. 여성가족부의 미래 역할을 두고 갑론을박이 한창인 우리 사회가 곱씹어볼만한 모범사례가 있는 현지에서 모색해봤다.
만 18세 이하 자녀를 가진 양육자를 대상으로 매월 지급하는 '아동수당(킨더겔트)'이 대표적이다. 자녀가 18세를 넘어도 직업적 수입이 없는 학생이거나 직업교육을 받는다면 25세까지 연장해 받을 수 있다. 지원금액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첫째·둘째를 기준으로 2016년 194유로(약 27만원)였던 액수는 지난해 219유로(약 30만원), 올해는 250유로(약 34만원)로 늘었다. 월 10만원씩 만 8세까지 지급하는 한국보다 훨씬 많다.
'파트너십 보너스'는 부모수당과 부모수당 플러스를 모두 수령한 부부가 이후에도 아이와 시간을 갖기 위해 전일제 대신 시간제로 근무하면 받을 수 있다. 최대 4개월까지 지원되며, 지원액수는 부모수당 플러스와 같다. 독일의 엄마 아빠들은 이렇게 부모수당과 부모수당 플러스, 파트너십 보너스 세 가지 제도를 각자의 상황에 맞춰 다양하게 조합해 사용하고 있다.
인프라와 관련해선 돌봄과 교육 시설, 가족 문제 관련 상담소 등을 확대하는데 주력하는 모습이다. 쉐펠스 과장은 "베를린엔 한 주에 49개의 가족센터가 있다"며 "양로원과 유치원을 같은 공간에 둔다던가. 아빠들을 위한 아빠센터와 엄마들이 모이는 엄마센터, 동성혼을 한 가족들이 찾는 무지개부모센터 등이 있다"고 소개했다. 그러면서 "가족을 위해 재정적 혜택을 주는게 아동 빈곤을 예방하는 측면과 연결돼 있는데 부모들이 아이들을 낳음으로써 내는 기회비용을 저희가 보상한다는 의미로 볼 수 있다"며 "베를린엔 가족지원법이라고 해 0~18세 아이들과 청소년은 재정적으로 안정을 확보해줘야 한다는 것을 법으로 명시해 놓고도 있다"고 말했다.
베를린(독일)=김지현 기자 flow@mt.co.kr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 송중기♥케이티, 로마서 아들 출산…팬카페에 올린 사진 한 장 - 머니투데이
- 곽튜브 수입 얼마길래…"성공했다 느껴, 한강뷰 아파트 이사" - 머니투데이
- 한고은 "허리 디스크 터져 119 실려 갔었다…다리 안 움직여" - 머니투데이
- 타블로, 14년 만에 '라디오스타' 찾아 신정환 언급…이유는 - 머니투데이
- 한혜진 "男 모델들, 속옷만 입고 면접 봐…이런 게 역차별" - 머니투데이
- "강제로 머리깎고 겨울에 방치"…'폭싹 속았수다' 제작진 갑질 폭로 - 머니투데이
- 생리대로 30분 만에 35억 대박…'4조 상속' 엑소 전 멤버 근황 - 머니투데이
- "치매 노모 버거워" 실직한 아들, 설날에 폭행→살해…징역 20년 - 머니투데이
- "불효 자식이라도…" 고향 찾은 김문수, 어머니 생각에 울컥 - 머니투데이
- '14살 연하' 폭행 의혹 배우, 연극 자진 하차…극단 "의사 존중" - 머니투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