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공사 좀 찾아주오"…재건축·재개발 수주 꺼리는 건설사들

임온유 2023. 5. 7. 06:0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분양 경기 침체와 원자재 가격 상승 여파로 시공사를 찾지 못하는 재건축·재개발 사업지가 속출하고 있다.

건설사는 조합과 공사비 갈등까지 심화하는 상황에서 "수주할수록 손해"라며 손을 떼는 분위기다.

마포구 공덕동 '공덕현대' 재건축 조합 역시 입찰 건설사가 단 한 곳도 없어 시공사 선정에 실패했다.

과거 치열하게 전개되던 수주 경쟁이 잠잠해진 이유는 부동산 경기 침체로 미분양 우려가 커진 데다, 원자재 가격 상승과 금리 인상으로 인해 공사비가 대폭 올랐기 때문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미분양 우려, 공사비 인상에 입찰 소극적
조합과의 공사비 협상 갈등 심화도 한몫
향후 공급 공백으로 이어져 집값 불안 유발

분양 경기 침체와 원자재 가격 상승 여파로 시공사를 찾지 못하는 재건축·재개발 사업지가 속출하고 있다. 건설사는 조합과 공사비 갈등까지 심화하는 상황에서 "수주할수록 손해"라며 손을 떼는 분위기다. 전문가들은 정비사업이 제때 이뤄지지 못하면 수도권처럼 신규 택지가 부족한 지역의 경우 전셋값·집값 급등 불안이 커질 수 있다고 지적한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재건축 수주액 1년 전보다 30% 이상 줄었다

7일 대한건설협회가 발간한 '2023년 2월 월간건설경제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월 건설사의 국내건설수주액은 총 13조4494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6517억원(4.6%) 감소한 규모다.

특히 주거용 건축(주택) 수주액이 급감했다. 재건축, 재개발, 신규주택 사업 등을 포괄하는 주거용 건축 수주액은 3조6604억원으로, 1년 전(5조709억원)보다 27.8%(1조4105억원) 감소했다. 이는 2019년 2월(2조6626억원) 이후 48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치다. 수주 건수는 172건으로 전년 동기 256건에 비해 32.9%(84건) 감소했다. 민간 부문만 놓고 보면 지난해 2월 188건에서 올해 2월 123건으로 34.6%(65건) 줄었다.

특히 기존 아파트를 철거해 새로이 아파트를 짓는 재건축 수주액의 경우 1년 만에 30% 이상 줄어든 2685억원에 그쳤다. 재개발 수주액은 1년 전 9830억원에서 1조9008억원으로 2배 이상 늘었지만, 올해 전국 재개발 사업 최대어로 꼽힌 광주 서구 광천동 재개발사업(1조7660억원) 영향이 커 전체적인 상승세라고 보기는 어렵다.

문래동 남성맨션 5차례 시도에도 시공사 못 구해

건설사의 수주 기피는 지방이 아닌 서울에서도 흔히 볼 수 있다. 영등포구 문래동 남성맨션 재건축 조합은 시공사 입찰을 5차례 진행했지만 결국 선정에 실패했다. 지난해까지만 해도 삼성물산과 포스코이앤씨 등 대형 건설사들이 관심을 보이는 듯했지만, 응찰에 나선 것은 롯데건설 한 군데에 불과했다. 입찰 건설사가 한 곳인 경우 강제 유찰되고, 2회 이상 유찰되는 경우에만 단독 입찰한 건설사와 수의계약을 맺을 수 있어 아직 시공사를 구하지 못한 상황이다. 조합이 당초 3.3㎡당 525만원이던 공사비를 719만원까지 올려주고, 입찰보증금도 90억원에서 50억원으로 내려주겠다고 했지만 이마저도 통하지 않았다.

마포구 공덕동 ‘공덕현대’ 재건축 조합 역시 입찰 건설사가 단 한 곳도 없어 시공사 선정에 실패했다. 조만간 재입찰을 진행할 예정이다. 이외에도 동대문구 청량리8구역도 두 차례 시공사 선정 입찰을 진행했지만, 롯데건설 단독 참여로 강제 유찰됐다.

[이미지출처=픽사베이]

장기적으로 공급 공백 유발해 집값 불안 자극할 수도

과거 치열하게 전개되던 수주 경쟁이 잠잠해진 이유는 부동산 경기 침체로 미분양 우려가 커진 데다, 원자재 가격 상승과 금리 인상으로 인해 공사비가 대폭 올랐기 때문이다. 게다가 최근 공사비 협상으로 조합과의 갈등이 극에 달한 터라, 아파트를 짓는다 해도 얻는 것보다 잃는 게 많다는 계산이 선 것이다.

시공사 선정이 미뤄지면, 재건축·재개발 같은 정비사업은 속도를 낼 수가 없어 결국 주택 공급이 늦어지게 된다. 주택 공급 연기는 당장은 큰 문제가 아닐 수 있다. 하지만 향후 공급 공백기가 도래하면 부동산 시장 불안의 뇌관이 될 가능성이 높다. 박합수 건국대 부동산대학원 겸임교수는 "재건축 부담금 완화 방안이 발표된 지 7개월이 지났는데도 진전이 없는 상황"이라면서 "재건축 사업 지체는 결국 주택 공급 부족과 가격 상승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관련 규제를 과감하게 폐지해야 한다"고 말했다.

임온유 기자 ioy@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