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외선 영역까지 제어' 국내연구진 광학소자 프린팅 공정 개발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내 연구진이 자외선 영역도 제어 가능한 광학 소자 프린팅 공정을 개발했다.
한국연구재단은 포항공대 노준석 교수와 고려대 이헌 교수 공동연구팀이 수 십 나노미터 해상도의 메타표면을 고굴절 재료를 이용해 제작하고, 도장을 찍듯이 간단히 프린팅하는 가공 기술을 개발했다고 5일 밝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대전ㆍ충남=뉴스1) 김태진 기자 = 국내 연구진이 자외선 영역도 제어 가능한 광학 소자 프린팅 공정을 개발했다.
한국연구재단은 포항공대 노준석 교수와 고려대 이헌 교수 공동연구팀이 수 십 나노미터 해상도의 메타표면을 고굴절 재료를 이용해 제작하고, 도장을 찍듯이 간단히 프린팅하는 가공 기술을 개발했다고 5일 밝혔다.
메타표면은 빛의 파장보다 작은 구조체를 주기적으로 배열한 인공물질로 원하는 파장의 빛을 자유롭게 제어할 수 있으며, 매우 얇고 가벼워 기존 광소자를 대체할 차세대 광소자로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가시광선에서 심자외선 영역으로 갈수록 빛의 파장이 짧아져 메타표면 구조체 제작을 위해서는 초정밀 공정기술이 요구된다.
하지만 가시광선에서 심자외선 영역으로 갈수록 빛의 파장이 짧아져 메타표면 구조체 제작을 위해서는 초정밀 공정기술이 요구된다. 기존의 극자외선 리소그래피 공정은 비용이 천문학적이며 고해상도의 전자빔리소그래피 공정은 속도가 매우 느려 메타표면 실용화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연구팀은 우선 지르코니아(ZrO₂) 나노입자가 첨가된 고굴절 레진을 개발했다.
또 정밀한 전자기학 설계기술로 고성능 자외선 메타표면을 설계하고 나노임프린트(NIL) 공정을 이용해 메타표면을 구현했다.
연구팀은 지르코니아 나노입자의 가시광 파장 영역에서 연구된 활용도를 자외선 영역까지 확장해 해당 물질의 실용도를 대폭 높였다.
이러한 공정으로 구현된 메타표면은 실제로 자외선(325nm) 및 심자외선(248nm) 파장에서 각각 72.3%와 48.6%의 높은 빛 제어 효율을 달성해 고성능 메타표면의 실용적 생산 가능성을 입증했다.
노준석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개발된 메타표면의 실용적 제작 기술은 제어 가능한 빛의 파장 범위를 확대하고 프린팅 방식의 빠른 생산성을 동시에 확보했다"며 "고성능 메타표면의 저비용 생산을 통해 메타표면 실용화를 앞당기는 교두보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추진하는 미래유망융합기술파이오니어사업 지원으로 수행된 이번 연구의 성과는 광학분야 국제학술지 ‘빛:과학과 응용(Light: Science & Applications)’에 지난달 8일 게재됐다.
memory4444444@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 조선대 신입생 MT서 '입에서 입' 러브샷…성희롱 발언도
- "성욕 채우려고"…우체국 여직원에 '썼던 콘돔' 담긴 봉투 보냈다
- 도봉역서 벤츠 난동 아찔…경찰차 뚫고 가려고 앞뒤로 쾅쾅쾅[영상]
- 드럼통 들어간 나경원 "이재명, 아프긴 아팠나 봐…그가 되면 그 공포는"
- '학폭 재판 노쇼' 권경애 "내 잘못 알려졌으니 9천만원 못줘" 손배 거부
- 애인과 싸우다 '격분'…가스 불로 강아지 태운 20대 남성 체포
- '30년간 외도' 이승연 아빠 "난 여복 강해, 하자는 대로 따라간 것"
- "놀 시간 얼마 없다"…제자들에게 회장님 술 접대시킨 교수, 결국 해임
- 샤이니 태민, 노제와 백허그? 온라인발 열애설…소속사 "확인 중"
- 순돌이 이건주, 44년만에 친모 찾고 "무당 촉 맞았다"…가족증명서에 충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