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신러닝으로 척척"…4500개 소행성 구성 성분 알아낸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내 연구진이 4500여 개 소행성의 구성 성분을 파악할 수 있는 기계학습(머신러닝) 기술을 개발했다.
한국천문연구원은 문홍규 박사와 손영종 연세대 교수 연구팀이 공동으로 천문연의 외계행성탐색시스템(KMTNet) 관측자료와 자체 개발한 기계학습법을 통해 4528개 소행성 표면의 구성 성분을 분류한 연구성과를 국제 학술지 '미국 행성과학저널'에 게재했다고 30일 밝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소행성 수수께기 실마리 찾는데 기여
국내 연구진이 4500여 개 소행성의 구성 성분을 파악할 수 있는 기계학습(머신러닝) 기술을 개발했다.
한국천문연구원은 문홍규 박사와 손영종 연세대 교수 연구팀이 공동으로 천문연의 외계행성탐색시스템(KMTNet) 관측자료와 자체 개발한 기계학습법을 통해 4528개 소행성 표면의 구성 성분을 분류한 연구성과를 국제 학술지 '미국 행성과학저널'에 게재했다고 30일 밝혔다.
소행성은 대부분 크기가 작아 대형 천체망원경으로 관측해도 점으로 밖에 나타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소행성 표면에 빛이 반사돼 드러나는 반사 스펙트럼을 통해 성분을 추정한다. 과학자들은 이런 방법을 이용해 임의로 2차원 변수평면 상에서 구획을 나눠 소행성 성분을 파악하려 했으나, 성분이 서로 다른 소행성들이 겹쳐 나타나는 문제가 있었다.
연구팀은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계학습을 활용한 분석방법을 적용했다. 과거 사용하던 변수인 가시광 스펙트럼 기울기와 흡수 스펙트럼 깊이에 더해 스펙트럼 넓이를 추가해 3차원 색(변수) 공간에 소행성 성분들이 나타나도록 했다. 이어 세 가지 변수(색)를 기계학습법으로 훈련시켜 소행성들의 개략적인 표면 성분을 새롭게 분류하는 데 성공했다.
그 결과, 명확하게 경계를 구분할 수 있는 기존 9개의 분류형을 확인했고, 이 가운데 2차원색 평면에서 구별하기 어려운 K형과 X형을 3차원 공간에서 뚜렷하게 구분할 수 있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문홍규 천문연 박사는 "이번에 개발한 기계학습 기술은 100만개 넘는 소행성과 3만2000개에 달하는 근지구소행성의 색 정보를 빠르게 수집해 한 눈에 파악하는 강력한 도구로 쓰일 것"이라며 "내년부터 향후 10년 간 베라 루빈천문대에서 수행할 '시공간 기록 탐사'의 빅데이터에 적용하면 태양계 소천체의 비밀을 파헤치는 데도 활용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준기기자 bongchu@dt.co.kr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초등생만 노렸다…`길거리 묻지마 폭행` 50대, 1년반 만에 검거
- "역대급 주차 빌런 롤스로이스"…`주차 거부`에 출입구 막고 사라져
- 헬멧맨 심야 금은방 습격…유리문 `꽝` 깨고 150돈 금 훔쳐
- 건물서 떨어진 10대 여성, 2시간 넘게 병원 4곳 헤매다 숨져
- 조민 "내 차는 아반떼 13년형, 포르쉐 탄 적 없어…가세연 처벌 원해"
- 美 "한덕수 권한대행 역할 전적 지지…수주 내 韓美 고위급 대면외교"
- 거부권 행사 韓대행 탄핵 놓고 고민 깊어지는 민주당
- 정부, 2030년 경제안보품목 의존도 50% 이하로 낮춘다… "핵심광물 민·관 공동 투자·탐사 지원 강
- `전기먹는 하마` AI에 빅테크도 `원자력` `신재생` 영끌하는데… 에너지가 정치판 된 한국
- `ABC` 강조한 구광모… "`도전과 변화` DNA로 LG 미래 세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