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광대 학부생, '나노카본 연구'로 국제 학술지 논문 게재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원광대학교 탄소융합공학과 학부생 변유영(24)씨가 나노카본 소재 연구와 관련해 제1 저자로 참여한 논문을 국제저널에 게재했다.
조 교수는 "지난 1년 반에 걸쳐 꾸준히 연구를 수행해 학부생으로는 드물게 SCIE급 국제 저널에 제1 저자로 논문을 게재하는 성과로 이어졌다"며 "이번 연구 결과가 친환경 에너지 수확소자 분야에 기초 연구 자료로 활용될 뿐만 아니라 체내 및 폐열을 활용해 핸드폰 등 다양한 전자기기를 충전할 수 있는 전기전자 디바이스 개발로 이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익산=연합뉴스) 김진방 기자 = 원광대학교 탄소융합공학과 학부생 변유영(24)씨가 나노카본 소재 연구와 관련해 제1 저자로 참여한 논문을 국제저널에 게재했다.
변씨는 조충연 교수의 지도를 받아 스페인 발렌시아대학 연구팀과 공동연구를 통해 나노카본 소재를 활용한 친환경 열전소자 개발에 성공했다.
이 연구는 국제저널인 어플라이드 서페이스 사이언스(Applied Surface Science) 최신호에 게재했다.
변씨는 수용성 전도성고분자(PEDOT) 합성에 성공하고, 이를 탄소나노튜브와 혼합해 나노 복합소재를 제조했다.
특히 기능성 고분자 및 탄소복합소재 연구팀은 제조한 나노 탄소복합소재의 전기·기계·물리적 특성을 분석하고, PEDOT 나노입자와 나노카본의 배향을 정밀하게 제어해 열전성능을 높였다.
조 교수는 "지난 1년 반에 걸쳐 꾸준히 연구를 수행해 학부생으로는 드물게 SCIE급 국제 저널에 제1 저자로 논문을 게재하는 성과로 이어졌다"며 "이번 연구 결과가 친환경 에너지 수확소자 분야에 기초 연구 자료로 활용될 뿐만 아니라 체내 및 폐열을 활용해 핸드폰 등 다양한 전자기기를 충전할 수 있는 전기전자 디바이스 개발로 이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chinakim@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검찰, '선우은숙 친언니 강제추행' 유영재에 2심도 징역 5년 구형 | 연합뉴스
- '돈세탁 실형' 페루 前대통령 부인 망명…도피 논란 | 연합뉴스
- 이재명, 타임지 '영향력 있는 100인'에 선정…블핑 로제도 포함(종합2보) | 연합뉴스
- 경찰, 10시간 대치 끝 대통령실·공관촌 압수수색 무산 | 연합뉴스
- 이순재, 거동 불편해 시상식 불참…"두 달 뒤 공식 활동"(종합) | 연합뉴스
- 성폭행 7년만에 검거 여고 행정공무원 집유 석방되자 검찰 항소 | 연합뉴스
- 광명 붕괴현장서 실종자 숨진 채 발견…사고 125시간 만에 수습(종합) | 연합뉴스
- "극히 이례적 사건"…50대 가장은 왜 가족 5명을 모두 살해했을까 | 연합뉴스
- 헌재 '한덕수 재판관 지명' 효력정지…"임명권 없다면 혼란"(종합) | 연합뉴스
- 법원, 뉴진스 독자활동 금지 유지…즉시항고해 2심서 재공방(종합2보) |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