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일본 1위 김 업체 한국상륙]삼각김밥 김도 日업체가 공급..외국자본 전쟁터된 한국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흥미로운 사실은 일본 업체가 삼각김밥에 사용되는 김을 공급하고 있다는 점이다.
일본 1위 김 업체인 '코아사(Koasa)그룹'이 한국 법인을 설립하는 등 외국계 자본이 국내 시장에서 소리 소문 없이 영역을 넓히는 이유다.
국내 업체 한 관계자는 "최근에는 중국 김 업체들도 한국 시장 진입을 노리고 있다"며 "완제품은 물론 원초 구매에서도 외국 자본의 영향력은 더욱 커질 것으로 보인다"고 우려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中·동남아 업체들도 '군침'
국내는 영세업체가 대부분
고품질 전략 등 엄두 못내
국내 김 시장이 ‘글로벌 회사의 전쟁터’로 변하고 있다. 전 세계에서 김 양식이 가능한 나라는 한·중·일 3개국에 불과하다. 이 중 우리나라는 김 양식 종주국이자 최대 생산국으로, 한국산 김은 세계 시장에서도 품질이 좋고 풍미가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일본 1위 김 업체인 ‘코아사(Koasa)그룹’이 한국 법인을 설립하는 등 외국계 자본이 국내 시장에서 소리 소문 없이 영역을 넓히는 이유다. 국내 업체 한 관계자는 “최근에는 중국 김 업체들도 한국 시장 진입을 노리고 있다”며 “완제품은 물론 원초 구매에서도 외국 자본의 영향력은 더욱 커질 것으로 보인다”고 우려했다.
◇ 커지는 김 시장 ··· 투자 늘리는 외국자본 = 관련 업계에 따르면 해외에서 김이 건강 간식으로 인식되면서 관련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다. 2017년 해양수산부가 발표한 국내 김 수출 동향에 따르면 일본으로의 수출액은 48%, 중국은 30.5%, 미국은 23.1%나 증가했다. 이 외에 러시아와 독일, 동남아시아 등 다양한 지역에서 김을 수입하기 시작하면서 우리나라가 김을 수출하는 국가도 2007년 49개국에서 109개국으로 늘었다.
전 세계 시장에서 국내 김의 인기가 높아지자 외국계 자본의 입질도 늘어나고 있다. 일본에 이어 중국 업체들이 한국 시장 진출을 노리고 있다. 한 업계 관계자는 “(특히 중국 업체의 경우) 한국에서 고품질의 원료를 조달하고 가공·생산 노하우를 배워 글로벌 시장을 공략하겠다는 전략”이라며 “외국 자본 진출은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한국은 전 세계 마른김의 50%를 생산하는 김 수출 대국이다. 최근에는 글로벌 성장세에 주목한 일본과 중국 및 동남아 기업까지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영세한 국내 시장···품질 등급도 없어 = 외국 자본이 눈독을 들이고 있지만 국내 김 시장은 저가 경쟁에 골몰해 고급 김 시장을 키우지 못하고 있다. 현재 국내 김 제조업체는 270여 개다. 10인 미만 소상공인 수준의 영세기업부터 CJ제일제당(097950)과 동원, 대상, 풀무원, 사조 등 대기업들도 김 제품을 생산·판매하고 있다. 수직적으로 분업화된 산업구조 탓에 대부분의 양식어가·가공업체가 영세한 수준을 면치 못하고 있다. 신제품 개발 등 연구개발(R&D)에 투자할 역량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것이다.
게다가 김 품질 등급조차 마련돼 있지 않다. 경쟁국인 일본이 반찬용 김과 초밥용 김, 간식용 김 등 종류를 세분화하고 품질 등급 관리에도 힘을 쏟는 것과 대조적이다. 김 양식 종주국이면서도 김 종자 대부분을 일본에서 수입하고 있다는 것도 아이러니다. 국내에서 김 종자를 연구하고 보존하고 있는 업체는 CJ제일제당이 유일하다. 한 식품업계 관계자는 “한국이 세계 김 시장 1위 자리를 지키려면 새로운 고부가가치 김 가공제품 개발 및 전략적 마케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박윤선기자 sepys@sedaily.com
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한미 관세협상 9부능선 넘었나…'루비오-베센트 만난다'
- 한미 산업장관 이틀째 협상 종료…일괄 타결 불투명
- 특수통 시대 저무는 檢…고위 간부 대대적 물갈이 [서초동 야단법석]
- 與, 증세 만지작…안철수 '국민 혈세 빨아먹는 흡혈귀 정부'
- 4대 금융 2분기 순익 5.4조
- “몇달 기다렸는데 드디어”…더 똑똑해진 GPT 내달 나올듯
- “말도 안돼, 동남아보다 더 덥네”…내일도 ‘최고 37도’ 펄펄 끓는다
- [지금, 명의] “위암 수술법 발전, 위 기능 최대한 보존…환자 영양 섭취 문제 줄여”
- 美유권자 10명 중 6명 '민주당에 비호감'…35년만 최고치
- 숨죽인 집값, 불안한 전세…'눈높이 낮춰 틈새 노려야' [부동산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