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식주의자』 곳곳 엉뚱한 번역 .. 스미스, 주어생략 이해 못해 "

김경록.신준봉 2017. 3. 6. 01:04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조재룡 교수, 불어판과 비교해 분석
'I'로 해야할 부분 'You'로 표현
수동적인 주인공, 능동적 묘사도
외국문학 번역 엄격 비판하면서
스미스는 무조건 떠받드는 건 위선

‘“이제 너희 걱정은 다 잊어버렸다. 완전히 자리를 잡았구나.” 장인이 수저를 들며 한마디 했다.’

지난해 5월 소설가 한강(47)에게 영국 맨부커인터내셔널상을 안긴 장편 『채식주의자』의 한 대목이다. 이 작품의 영어번역으로 상을 공동수상한 영국인 데버러 스미스(29)는 ‘문제의 대목’을 다음과 같이 영어로 옮겼다.

‘‘Now you’ve forgotten all your worries,’ my father in-law pronounced, taking up his spoon and chopsticks. ‘Completely seized the moment!’’

데버러 스미스
한국어 원문 첫 문장 ‘이제 너희 걱정은 다 잊어버렸다’의 생략된 주어가 영어판에서는 ‘you’로 되살아났다. 과격하게 채식주의자로 돌변한 딸 영혜와 그로 인해 골치 썩는 사위를 장인(영혜의 아버지)이 도닥거리는 장면인데, 웬만한 한국어 독해력 소지자라면 쉽게 알 수 있는 ‘생략 주어(=장인)’를 스미스는 엉뚱하게도 너희, 즉 영혜와 사위로 둔갑시켰다. 왜 이런 ‘사고’가 발생한 걸까.

스미스의 한국어 장악력이 떨어지기 때문이라는 게 고려대 불문과 조재룡 교수의 진단이다. 스미스의 한국어가 서툴러서 생긴 오역(誤譯)이라는 얘기다. ‘채식주의자 영어 번역’ 논란 2라운드다. 『채식주의자』 영어 번역 논란은 지난 1월 문학평론가 정과리씨가 처음 제기했다. <중앙일보 2017년 1월 10일자 22면>

한강 소설 『채식주의자』 영어 번역 논란이 또 불거졌다. 문제를 제기한 평론가 조재룡씨. [사진 김경록 기자]
번역가로도 활동하는 조 교수는 중편 ‘채식주의자’ 전체를 영어판은 물론 재불 번역가 정은진씨의 불어 번역판과도 비교했다.

스미스 영어번역의 문제점을 A4지 15쪽 분량에 조목조목 짚은 ‘번역은 무엇으로 승리하는가?’를 이번 주 시판되는 계간 문학동네 봄호에 발표한다.

지난 3일 고려대 연구실. 조 교수는 “지난해 수상 당시 의미를 묻는 기자들의 질문에 일단 번역의 승리라고 말해주곤 했다”고 밝혔다. 엄밀하게 말하면 번역판이 수상을 한 것이라는 의미였다. “정작 어떤 번역인지 직접 확인해봐야겠다는 생각에 영어·불어판본을 대조해보니 첫 세 페이지쯤에서 스미스가 전체적으로 한국어 해석에 어려움을 겪었다는 인상을 받았다”고 했다. 그 키워드로 들여다 보니 주어가 생략된 문장의 번역이 상당 부분 잘못됐더라는 것. “한국어를 번역하는 외국인들이 가장 어려워하는, 문장의 생략된 주어 찾기에서 스미스는 번번이 실수했다”고 지적했다.

조 교수는 “주어를 잘못 짚는 단순 오역은 큰 문제가 아닐 수 있다”고 했다. “이러한 실수로 인해 텍스트의 특수성을 제대로 전달하지 못한 점이 좀 더 심각한 문제로 보인다”고 주장했다. 가령 주인공 영혜는 한국적 가부장제에 짓눌린 수동적이고 몽환적인 캐릭터다. 한데 스미스의 번역에서는 능동적이고 이성적인 여성으로 그려졌다는 지적이다. 주어를 혼동하거나 구문을 잘못 해석한 탓이다.

조 교수는 “요즘은 작품의 문체나 특수성을 살리기 위해 원문을 어느 정도 독창적으로 옮기는 ‘언술번역’이 일반적”이라고 소개했다. “그렇더라도 스미스는 너무 나간 것 같다”고 지적했다. “한국어 문법, 통사, 구문, 어휘 등에 대한 장악력에 신경쓰기보다 원문에서 느껴지는 이미지에 맞도록 낱말을 배치하는데 집중한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없는 문장을 덧붙이는 등 창조적 변용을 가했다는 지적이다. 그러다보니 문장이 유려한 ‘스미스의 채식주의자’는 탄생했는지 몰라도 한국어 원본과는 너무도 다른 모습이라고 지적했다.

조 교수는 “이번 글이 비판이 목적은 아니다”라고 했다. “오히려 한국문학 발전을 위해 제2, 제3의 스미스가 나와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려면 “스미스가 큰 일을 했다고 해서 한국문단이 이런저런 역할을 몰아주려 할 게 아니라 또 다른 스미스가 나올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하는 게 더 중요하다”고 했다. 가령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문법책 확충이 그런 일이다.

“외국 문학의 한국어 번역은 토씨 하나까지 엄격하게 비판하면서 스미스 번역은 무조건 떠받는 건 다소 위선적이며 이중잣대처럼 느껴진다”고 했다.

글=신준봉 기자 inform@joongang.co.kr 사진=김경록 기자

'대연정이냐 국가 대청소냐' 文, 안희정 선제공격에···

삼성 반도체 없으면 화웨이 타격···中 수출기업도 손해

산란 앞둔 통영 봄멸치, 기름기 줄줄 '어엿한 횟감'

걸으며 통화했을 뿐인데···'틈틈이 운동'으로 뱃살이

바른정당 호남 시·도당 창당, 그 뒤엔 이종구의 편지 1000통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