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H, 청년·신혼부부 매입임대 3003가구 모집

김미리내 2025. 4. 7. 11:29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무주택 청년·신혼부부 등을 위한 매입임대주택 3003가구에 대한 청약 접수를 시작한다고 7일 밝혔다.

청년 매입임대주택은 19∼39세 청년, 대학생, 취업준비생 등을 대상으로 인근 시세의 40∼50% 수준에서 최장 10년(입주 후 혼인 시 20년)까지 거주할 수 있다.

신혼·신생아 매입임대주택은 예비 신혼부부를 포함해 결혼 7년 이내 신혼부부, 신생아가구(2년 이내 출산·출생 입양) 등이 대상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수도권 1421가구, 제주 등 지방 1582가구 
4월 7~9일 사흘간 청약 접수, 6월 발표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무주택 청년·신혼부부 등을 위한 매입임대주택 3003가구에 대한 청약 접수를 시작한다고 7일 밝혔다.

매입임대주택은 도심 내 교통 접근성이 좋아 직주근접이 가능한 신축 및 기존 주택을 LH가 매입해 저렴하게 임대하는 제도다.

LH 2025년 청년·신혼부부 매입임대주택 1차 지역별 공급 계획/그래픽=비즈워치

이번 공급 규모는 청년 매입임대주택 1666가구, 신혼·신생아 매입임대주택 1337가구를 포함해 총 3003가구다. 

청년 매입임대주택은 19∼39세 청년, 대학생, 취업준비생 등을 대상으로 인근 시세의 40∼50% 수준에서 최장 10년(입주 후 혼인 시 20년)까지 거주할 수 있다.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에 767가구, 그 외 지역에 899가구가 공급된다. 주택 여건에 따라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등 1인 거주에 최적화된 붙박이 시설도 제공할 예정이다.

신혼·신생아 매입임대주택은 예비 신혼부부를 포함해 결혼 7년 이내 신혼부부, 신생아가구(2년 이내 출산·출생 입양) 등이 대상이다. 수도권에 654가구, 그 외 지역에 683가구가 공급된다. 신혼·신생아 매입임대주택은 소득·자산기준 등에 따라 신혼·신생아Ⅰ, Ⅱ 유형으로 구분한다. 

신혼·신생아Ⅰ은 다가구, 다세대주택 등을 시세 30∼40% 수준에 공급하며, 최장 20년까지 거주할 수 있다. 신혼·신생아Ⅱ는 아파트·오피스텔 등을 시세 70∼80% 수준의 준전세형(임대조건의 80% 보증금, 월 임대료 20%)으로 공급하며, 최장 10년(자녀가 있는 경우 14년)까지 거주할 수 있다. 

청약모집 기간은 4월 7일~9일까지 사흘간이다. 청약접수는 LH청약플러스 홈페이지, 앱 등을 통해 가능하다. LH는 이달 중 서류심사 대상자를 안내하며, 소득·자산 등 입주 자격 검증을 거쳐 6월 중 예비입주자를 발표할 예정이다.

김미리내 (pannil@bizwatch.co.kr)

ⓒ비즈니스워치의 소중한 저작물입니다. 무단전재와 재배포를 금합니다.

Copyright © 비즈워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