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양가 2억인데 5억으로 껑충...공급 가뭄 지방도 '얼죽신'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노후 아파트 비율이 높은 지방의 공급 가뭄 지역에서 새 아파트 인기가 높아지고 있다.
8일 부동산인포에 따르면 최근 5년 동안 분양이 없었던 지방에서 연내 공급이 예정된 물량은 7개 단지, 총 5674가구로 조사됐다.
이들 공급 가뭄 지역은 새 아파트의 희소성이 두드러진 곳이다.
또 지난해 8월 대전 서구 탄방동에 분양된 '둔산자이아이파크'도 705가구(특별공급 제외) 모집에 4만8415명이 몰려 평균 69대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파이낸셜뉴스] 노후 아파트 비율이 높은 지방의 공급 가뭄 지역에서 새 아파트 인기가 높아지고 있다.
8일 부동산인포에 따르면 최근 5년 동안 분양이 없었던 지방에서 연내 공급이 예정된 물량은 7개 단지, 총 5674가구로 조사됐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전북 2곳, 강원·부산·대구·세종·전남 각 1곳씩이다.
이들 공급 가뭄 지역은 새 아파트의 희소성이 두드러진 곳이다. 실제 청약홈에 따르면, 경북 구미시 봉곡동에 10년 만에 분양된 ‘힐스테이트 구미더퍼스트’는 올해 7월 청약 접수 결과, 평균 2대1, 최고 18대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또 지난해 8월 대전 서구 탄방동에 분양된 ‘둔산자이아이파크’도 705가구(특별공급 제외) 모집에 4만8415명이 몰려 평균 69대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새 아파트 가격 상승세도 눈에 띈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지난 2018년 전북 전주시 서신동에서 14년만에 분양된 ‘서신 아이파크 e편한세상’은 전용 84㎡가 지난해 7월 4억5500만원에 거래됐다. 분양가는 2억원대로 올 7월에는 5억6000만원으로 올랐다.
권일 부동산인포 리서치 팀장은 "공사비 등 여러 이유로 공급이 줄어들 것이란 전망이 이어지고 있어 신축과 구축의 가격 차가 더 벌어질 수 있다”라고 말했다.
#지방 #아파트 #분양
jiany@fnnews.com 연지안 기자
Copyright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구준엽은 12㎏ 빠졌는데…서희원 전남편, 18세 연하와 호화 결혼식
- 노래방 女사장 숨진 채 발견…가슴에 큰 자창
- "김 여사, 대책없이 빨리 나가겠다며 경호처 압박" 전 청와대 행정관 폭로
- "기성용 대리인 허위 입장문에 피해" 폭로자들, 손배소 2심도 패소
- 가만히 있던 박나래 '날벼락'…취중라방 소환에 도난사고까지[N이슈]
- 대형 학원 운영하던 남편, 상간녀 때문에 사망…왜?
- '9월 재혼' 김병만, 전처 딸 파양은 아직…"곧 소송 결과 나올 것"
- '대선 출마' 이철우 "어제 尹 만나…주변 인사들 배신에 상처"
- 이요원, 6살 연상 남편 재벌설 해명…'돌싱포맨' 출격 [RE:TV]
- 이다해, 세븐과 별거…"신혼 즐길 새 없이 많은 변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