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억이 금세 3억 됐어요"…은퇴 고민하던 김부장 신났다 [일확연금 노후부자]

최만수 2024. 6. 20. 07:31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엔비디아 담은 ETF 수익률 98%
퇴직연금에 넣었다면
1년 수익률 80% 넘은 ETF 늘어
전문가 "미국 테크주에 장기투자 할 때"

※ 한국경제신문은 독자 여러분들의 노후 자산형성에 도움이 될 ‘연금 재테크’의 모든 것을 다루는 ‘디지털 온리’ 콘텐츠 [일확연금 노후부자] 시리즈를 매주 화·목요일에 연재합니다.

사진=연합뉴스


“엔비디아 덕분에 노후자금이 든든해졌네요. 퇴직연금 1년 수익률 50% 찍었습니다.”

세계 인공지능(AI) 반도체 선두주자인 엔비디아가 마이크로소프트를 제치고 시가총액 1위에 오르면서 이를 많이 담고 있는 AI관련 상장지수펀드(ETF)들도 고공행진하고 있습니다. 1년 수익률 70%를 넘긴 ETF들이 쏟아지는 가운데, 퇴직연금 계좌를 통해 AI·반도체 ETF에 투자하려는 사람들도 늘고 있는데요. 

AI·반도체 ETF는 편입 종목과 비중에 따라 수익률 천차만별입니다. 엔비디아를 얼마나 많이 담았는지, 중국이나 한국 반도체 종목 비중이 어느 정도인지 등에 따라 확 갈립니다. 투자자하기 전에 ETF에 담긴 종목과 비중 등을 잘 따져봐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합니다.

 엔비디아 비중 높을수록 ETF 수익률 高高

‘KODEX 미국반도체MV’는 19일 유가증권시장에서 2.24% 오른 2만6495원에 마감했습니다. 지난 1년간 97.78% 급등해 국내에 상장된 주식형 ETF 중 수익률 1위(레버리지 제외)를 찍었습니다. 이 ETF는 엔비디아를 23.29% 담고 TSMC(12.08%), 브로드컴(8.29%), 퀄컴(4.69%) 등에 분산투자합니다. 

같은 기간 ‘ACE 글로벌반도체TOP4PlusSOLACTIVE(88.66%)’ ‘KOSEF 글로벌AI반도체(67.29%)’도 높은 성과를 냈습니다. 세 상품 모두 엔비디아를 20% 이상 편입하고 AI 관련주에 분산 투자한다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퇴직연금 계좌에 미국 빅테크 기업을 담아야한다는 전문가들의 조언은 최근에 나온 게 아닙니다.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메타 구글 등 ‘매그니피센트7’들이 지난 10년 간 기술혁신을 이끌며 나스닥시장 주가 상승을 견인해왔기 때문입니다. 다만 최근 들어서는 AI 테마의 대표 종목이자 최대 수혜주로 꼽히는 엔비디아를 많이 담은 상품이 더 좋은 성과를 내고 있습니다.


배재규 한국투자신탁운용 사장은 “엔비디아는 최근 주가 급등에도 불구하고 어닝 서프라이즈(깜짝 실적)를 이어가고 있기 때문에 밸류에이션(실적 대비 주가 수준) 측면에서 상승 여력이 충분하다”며 “퇴직연금 계좌를 활용해 빅테크 상위 7개 기업이나 글로벌 반도체 톱 4개 기업에 적립식으로 투자하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습니다.

엔비디아를 담고 있으면서도 채권형으로 분류돼 퇴직연금 계좌에서 비중 100%까지 투자할 수 있는 상품도 있습니다. ‘ACE 엔비디아채권혼합블룸버그’는 엔비디아를 31.32%까지 편입하고 나머지 자산은 국고채에 투자합니다. 1년 수익률은 52.83%로 채권형 ETF 중 압도적인 성적을 내고 있습니다.

 수익률 마이너스인 AI 반도체 ETF도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 사진=연합뉴스


엔비디아의 초강세가 다소 부담스럽다면 차세대 AI 종목으로 구성된 ETF도 주목할 만합니다. ‘TIMEFOLIO 글로벌AI인공지능액티브’는 엔비디아 비중이 12.86%로 상대적으로 낮지만 1년 수익률이 80.20%에 달합니다.

이 상품은 엔비디아 외에 영국의 반도체 디자인회사 ARM, 미국의 액침냉각업체 슈퍼마이크로컴퓨터, AI데이터 분석회사 팔란티어 등에 분산투자합니다. 삼성전자 대신 고대역폭메모리(HBM) 시장에서 앞서가고 있는 SK하이닉스(3.17%)만 편입한 것도 특징입니다.

반면 AI나 반도체 ETF로 분류되는데 수익률이 마이너스인 상품도 있습니다. ‘KBSTAR AI&로봇’은 1년 수익률 -2.96%로 부진합니다. 이 ETF는 엔비디아 등 글로벌 반도체주를 담지 않고 레인보우로보틱스(5.97%), 두산로보틱스(5.84%), 네이버(5.75%) 등 국내 주식 위주로 투자해 지지부진한 흐름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비오 테크놀로지, THM 등 중국 반도체 기업에 주로 투자하는 ‘TIGER차이나반도체FACTSET’도 1년 수익률 -13.43%로 저조한 성적을 냈습니다.


한 자산운용사 ETF 본부장은 “글로벌 AI·반도체 강세에 편승해 ETF 상품이 우후죽순식으로 출시되고 있다”며 “편입 종목에 따라 수익률이 크게 차이 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잘 분석해 보고 투자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퇴직연금 계좌로 AI반도체 ETF에 투자하면 엔비디아 알주식에 투자하는 것보다 세제 측면에서도 유리합니다. 해외 주식을 직접 매수하면 양도차익이 250만원 이상일 때 22%의 양도소득세가 붙지만, 연금계좌로 ETF에 투자시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고 과세이연으로 인한 복리 효과도 기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평균수명 '100세 시대' 대한민국 평균 은퇴연령은 51세에 불과합니다. 행복한 노후를 위해 지금부터 철저한 재테크 플랜이 필요합니다. 한국경제신문은 주식뿐 아니라 채권, 예금, 파생상품, 부동산 등 각종 금융상품을 통한 자산관리 전략을 매주 2회 화요일과 목요일에 연재합니다. 아래 기자 페이지를 구독하거나 포털에서 [일확연금 노후부자]로 검색하면 더 많은 재테크 기사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최만수 기자 bebop@hankyung.com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