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상제 실거주 의무 3년간 유예되나.. 총선 앞두고 여야 합의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분양가 상한제 아파트에 대한 실거주 의무가 3년 간 유예될 것으로 보인다.
19일 정치권에 따르면 총선을 50일 가량 앞두고 여야는 실거주 의무를 유예하는 내용의 주택법 개정안 처리를 위한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국토법안심사소위원회 개최에 합의했다.
실거주 의무는 분양가 상한제를 적용받은 아파트 청약에 당첨되면 입주 시점에서 2~5년간 직접 거주해야 한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파이낸셜뉴스] 분양가 상한제 아파트에 대한 실거주 의무가 3년 간 유예될 것으로 보인다.
19일 정치권에 따르면 총선을 50일 가량 앞두고 여야는 실거주 의무를 유예하는 내용의 주택법 개정안 처리를 위한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국토법안심사소위원회 개최에 합의했다.
이에 따라 오는 21일 오전 열리는 국토법안소위에서 주택법 개정안이 논의된다.
여야는 실거주 의무가 시작되는 시점을 지금의 '최초 입주 가능일'에서 '최초 입주 후 3년 이내'로 완화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입주 전 한 번은 전세를 놓을 수 있는 길이 열리는 셈이다.
개정안은 21일 국토위 소위를 거쳐 22일 전체회의 문턱을 넘으면 오는 29일 열리는 본회의를 통과할 가능성이 크다.
정부가 지난해 1월3일 전매제한 완화와 함께 실거주 의무 폐지를 발표한 지 1년2개월 만이다.
실거주 의무는 분양가 상한제를 적용받은 아파트 청약에 당첨되면 입주 시점에서 2~5년간 직접 거주해야 한다.
전세를 끼고 집을 사는 '갭투기'를 막겠다는 취지로 2021년 도입됐다.
실거주 의무가 적용되는 단지는 지난달 말 기준으로 77개 단지 4만9766가구다. 이 중 이미 입주가 시작된 곳은 11개 단지 6544가구다.
정부는 '1·3 부동산 대책'을 통해 수도권 분양가 상한제 아파트에 적용하는 실거주 의무를 폐지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ssuccu@fnnews.com 김서연 기자
Copyright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구준엽은 12㎏ 빠졌는데…서희원 전남편, 18세 연하와 호화 결혼식
- 노래방 女사장 숨진 채 발견…가슴에 큰 자창
- "김 여사, 대책없이 빨리 나가겠다며 경호처 압박" 전 청와대 행정관 폭로
- "기성용 대리인 허위 입장문에 피해" 폭로자들, 손배소 2심도 패소
- 가만히 있던 박나래 '날벼락'…취중라방 소환에 도난사고까지[N이슈]
- 대형 학원 운영하던 남편, 상간녀 때문에 사망…왜?
- '9월 재혼' 김병만, 전처 딸 파양은 아직…"곧 소송 결과 나올 것"
- '대선 출마' 이철우 "어제 尹 만나…주변 인사들 배신에 상처"
- 이요원, 6살 연상 남편 재벌설 해명…'돌싱포맨' 출격 [RE:TV]
- 이다해, 세븐과 별거…"신혼 즐길 새 없이 많은 변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