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교 177주년 되는 날, 바티칸에 김대건 신부 성상···동양인 최초
가톨릭 성지인 바티칸 성 베드로 대성전에 한국 최초의 사제 성 김대건 안드레아 신부(1821~1846)의 성상이 세워졌다. 이곳에 동양인 성상이 설치되는 것은 가톨릭 역사상 처음이다.
16일 오후 4시30분(현지시간) 바티칸 성 베드로 대성전 우측 외벽의 설치 장소 인근에서 김대건 신부 성상 축복식이 거행됐다. 축복식은 김대건 신부가 순교한 지 177년 되는 날에 맞춰 열렸다.
한진섭 조각가가 제작한 김대건 신부 성상은 높이 3.7m, 폭 1.83m 전신상으로, 갓과 도포 등 한국 전통 의상 차림으로 두 팔을 벌리고 있다. 두 팔을 벌려 모든 것을 받아들인다는 의미를 표현한 것이다. 성상의 좌대에는 한글로 ‘성 김대건 안드레아 사제 순교자’라고 새겼고, 그 아래 라틴어를 새겼다.
성상의 위치는 성 베드로 대성당 우측 외벽 벽감(벽면을 움푹 파서 만든 공간)이다. 이곳은 성 베드로 대성당 지하 묘지 출구 인근으로 사람들의 왕래가 잦은 길목이다. 주변에는 프란치스코, 도미니코 성인 등 기존의 유럽 수도회 설립자들의 성상이 세워져 있다.
성상 축복식은 성 베드로 대성전을 총괄하는 마우로 감베티 추기경이 주례했다. 감베티 추기경은 “김대건 신부를 시작으로 이제는 각 민족과 나라를 대표하는 성상을 성 베드로 대성전에 모실 것”이라며 “오늘의 축복식은 동서양 교회가 함께 걸어가길 바라는 희망의 표현”이라고 말했다.
축복식에 앞서 이날 오후 3시에는 성 베드로 대성전에서 교황청 성직자부 장관인 유흥식 추기경의 주례로 성상 설치 기념 미사가 봉헌됐다. 유 추기경은 “2027년 가톨릭 세계청년대회 서울 개최에 이어 또 하나의 놀랍고 감격스러운 순간”이라며 “25년의 짧은 삶을 살았지만 어떤 어려움에도 희망과 용기를 잃지 않았던 김대건 신부의 삶을 전 세계 젊은이가 본받길 기대하고 기도드린다”라고 말했다.
성상 설치는 유 추기경이 프란치스코 교황에게 성상 봉헌 의사를 밝히며 결정됐다. 한국 천주교 16개 교구가 성상 제작비를 지원했다. 프란치스코 교황은 2014년 김대건 신부의 탄생지인 솔뫼 성지를 방문하기도 했다.
이날 기념 미사와 축복식에는 한국천주교주교회의 의장 이용훈 주교와 전 서울대교구장 염수정 추기경, 전 군종교구장 유수일 주교, 군종교구장 서상범 주교, 청주교구장 김종강 주교, 부산교구 신호철 주교가 참석했다.
오전 10시에는 바티칸 교황사도궁 클레멘스홀에서 한국 주교단과 함께 공식 순례단, 로마 거주 한국인 사제, 수도자, 평신도들이 프란치스코 교황을 특별 알현했다.
프란치스코 교황은 한국 가톨릭 대표단에 “저마다 삶의 자리에서 ‘평화의 사도’가 돼 달라”고 당부했다.
이영경 기자 samemind@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조경태 “마은혁 미임명, 헌재서 위헌 판단했으면 유불리 따지지 말고 따라야”
- “농담 아냐, 방법 있다”···또 금지된 ‘3선 대통령’ 도전 시사한 트럼프
- 여수서 전자발찌 끊고 달아난 ‘강도 전과’ 40대, 하루 만에 평택서 검거
- [단독]도움 호소했던 영양군수 “주민 ‘대성통곡’에도 헬기 지원조차 되지 않았다”
- [경제뭔데]이준기 9억, 유연석 70억까지···연예인이 국세청 세금 추징당하는 이유는?
- ‘가시나무새들’ ‘쇼군’ 주연 리처드 체임벌린, 향년 90세로 별세
- 날계란 맞고 뺑소니로 전치 4주 부상에도 집회장 지키는 이유…“아무도 다치지 않길 바라서”
- [단독] 민주당, 자녀 많을수록 소득세 감면···프랑스식 ‘가족계수제’ 유력 검토
- 국민의힘 36.1% 민주당 47.3%, 격차 더 벌어졌다[리얼미터]
- 적신월사 구급대원 8명, 가자지구서 실종 뒤 숨져…“인도주의 활동에 초래된 비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