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분기 오피스텔 매매가 1.19% 하락…역대 최대 낙폭

이인혁 2023. 4. 17. 14:0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고금리 여파로 전국 오피스텔 가격이 올 1분기에 역대 최대 낙폭을 기록했다.

오피스텔 매매가는 작년 3분기(-0.24%) 하락세로 전환한 뒤 낙폭을 계속 키우고 있다.

전국 오피스텔 전세값도 작년 4분기 -0.82%에서 올 1분기 -1.25%로 하락 폭이 커졌다.

지난해 4분기엔 0.07% 올랐던 전국 오피스텔 월세가격도 이번엔 -0.18%로 하락 전환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기사와 관련 없는 이미지 입니다. / 사진=게티이미지뱅크


고금리 여파로 전국 오피스텔 가격이 올 1분기에 역대 최대 낙폭을 기록했다. 다만 올해 들어 월별 하락 폭은 주춤해지고 있다. 아파트값도 3개월 연속 낙폭이 줄었다.

17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1분기 전국 오피스텔 매매가격은 전분기 대비 1.19% 떨어졌다. 부동산원이 오피스텔 가격동향 조사를 시작한 2018년 1분기 이후 내림 폭이 가장 가팔랐다. 오피스텔 매매가는 작년 3분기(-0.24%) 하락세로 전환한 뒤 낙폭을 계속 키우고 있다. 반면 분기가 아니라 월 단위로 살펴보면 올해 들어 1월(-0.44%), 2월(-0.39%), 3월(-0.36%) 등 하락세가 점점 떨어지고 있다.

서울(-0.59%→-0.81%)과 수도권(-0.72%→-1.15%), 지방(-1.21%→-1.36%) 모두 올 1분기에 낙폭이 확대됐다. 최근 대출과 세제, 청약 등 아파트 관련 규제가 완화되면서 한때 ‘아파트의 대체재’로 인기를 끌었던 오피스텔의 매력이 시들해진 것으로 분석된다. 부동산원 관계자는 “고금리 유지와 부동산 경기 위축 속에서 주택 규제 완화에 따라 (오피스텔의) 상대적 이점이 저하됐다”고 설명했다.


오피스텔 임대차 시장도 침체가 이어지고 있다. 전국 오피스텔 전세값도 작년 4분기 -0.82%에서 올 1분기 -1.25%로 하락 폭이 커졌다. 지난해 4분기엔 0.07% 올랐던 전국 오피스텔 월세가격도 이번엔 -0.18%로 하락 전환했다. 대출금리 부담 증가에 월세 선호현상은 이어지고 있지만, 계속된 월세값 상승으로 수요가 이탈하고 매매·전세값이 지속 떨어지면서 월세가격도 하방 압력을 받았기 때문이다.

지난달 기준 전국 오피스텔 수익률은 4.90%로 집계됐다. 전월(4.88%)보다 0.02%포인트 올랐다. 오피스텔 수익률은 매매가격에서 월세보증금을 뺀 값 대비 연간 월세수입으로 계산되는데, 분모에 해당하는 매매값이 떨어지면서 수익률이 개선되는 효과가 나타난 것으로 해석된다. 부동산R114에 따르면 올 1분기 오피스텔 분양 물량은 1464실로, 최근 10년간 1분기 평균 실적(1만2723실)의 9분의 1에 불과했다.

아파트 시장은 회복 기대감이 조금씩 나타나고 있다. 부동산원은 전국 주택종합(아파트, 다세대·단독 포함) 매매가격이 전월 대비 0.78% 떨어졌다고 이날 발표했다. 작년 12월에 -1.98%의 최대 낙폭을 기록한 뒤 3개월 연속 하락 폭이 축소되고 있다. 아파트만 따로 살펴봐도 비슷한 흐름을 보였다.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 변동률은 작년 12월 -2.91%에서 올해 1월 -2.12%, 2월 -1.62%, 3월 -1.09%로 개선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 2월 0.8% 떨어졌던 서울 주택가격은 지난달엔 0.55% 감소했다. 주요 대단지 위주로 매물 적체가 지속되고 있지만 일부 급매물 소진 및 규제완화 기대감으로 하락 폭이 줄어들고 있다는 설명이다. 자치구별로 살펴보면 강동구(-1.03%→-0.24%)와 송파구(-0.70%→-0.34%), 구로구(-1.00%→-0.66%), 강남구(-0.63%→-0.35%) 등 강남권의 집값 낙폭 축소가 두드러졌다. 서초구도 지난 2월 -0.46%에서 지난달 -0.19%로 주택가격 낙폭이 줄었다.

이인혁 기자 twopeople@hankyung.com

해외투자 '한경 글로벌마켓'과 함께하세요
한국경제신문과 WSJ, 모바일한경으로 보세요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