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 대책 이후 더 힘들다"…지방 건설사 하루 10곳씩 줄폐업

차완용 2023. 3. 21. 07:5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최근 울산·경남 지역의 한 중견 건설사 대표가 자금난으로 극단적 선택을 하는 일이 발생했다. 해당 건설사가 진행하던 현장은 모두 멈춰 섰으며, 공정률 90%의 분양 사업장도 중단됐다. 이 업체와 협력하던 지역 소규모 전문건설업체 서너 곳도 자금을 받지 못하게 되면서 부도 위기에 내몰렸다.

21일 업계에 따르면 지방의 지역 건설 현장이 대규모 미분양과 부동산 경기 하락에 휘청이고 있다. 정부의 1·3 부동산 대책으로 서울 부동산 시장은 활기를 찾고 있는 모습인 반면, 지방은 투자 비중이 더 감소하면서 지역 중소형 건설사들의 폐업이 이어지는 등 어려움이 가중되는 양상이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실제 건설산업지식정보시스템(KISCON)에 따르면 20일 기준 올해 폐업한 종합·전문건설업체는 803개(철회 19개 제외)로 나타났다. 하루 평균 10곳 정도가 폐업한 셈이다.

이는 전년 동기 718개에 비해 13.9% 증가한 수준으로 지난 2016년 기록된 821개 이후 최대치다. 연도별 같은 기간 폐업 신고를 한 건설업체 수는 2017년 728개로 줄어든 이후 2018년 651개, 2019년 607개, 2020년 629개, 2021년 614개 등을 기록했다.

폐업은 지방에 집중됐다. 이날까지 폐업 신고를 한 서울 소재 건설사는 94개로 전체 폐업 건설사의 11.5% 수준이다. 서울을 제외한 수도권 소재 폐업 건설사는 227개(경기 186, 인천 41)로 27.8% 비중을, 나머지는 482개(61.7%)는 지방 소재였다.

폐업 건설사 증가의 주된 원인으로는 자금시장 경색, 원자재 가격 상승 등이 꼽힌다. 기준금리 인상에 따른 대출 이자 부담이 커진 상황에서 부동산 경기 침체까지 겹치자 건설사들의 유동성에 큰 문제가 생겼다. 여기에 원자재 가격 인상과 분양 시장 위축은 수익성 감소를 불러왔다.

대형 건설사는 자체 보유한 현금으로 버텼지만, 중소 건설사는 버티질 못했다. 특히 중소 건설사 대부분이 지방을 기반으로 사업을 영위한 까닭에 지방 중소건설사 폐업이 늘어날 수밖에 없었던 것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지방 건설업계에서는 정부의 1·3 부동산 대책이 지방 건설사 폐업 증가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고 있다. 1·3대책을 통해 서울과 수도권의 규제 지역을 대거 해제하면서 지방 부동산 시장의 투자 및 분양 시장을 위축시켰다는 설명이다.

경남지역의 한 중소 건설사 관계자는 "1·3 대책 이후 지방에서는 PF대출 유치는 물론이고 청약 시장마저 꽁꽁 얼어붙었다"며 "투자자(금융사)도 수요자(청약·분양자)도 모두 서울과 수도권만 바라보지, 지방은 쳐다보지도 않는다"고 말했다.

또 분양업계 관계자는 "서울과 수도권 규제가 대거 풀린 이후 지방 분양 시장은 청약은 물론 계약까지 포기하는 수요자들이 많아졌다"고 설명했다.

국토부에 따르면 1월 전국 미분양 주택은 7만 5359가구로 2012년 11월 이후 10년 2개월 만의 최대치를 기록했다. 특히 전체의 85%에 육박하는 6만3102가구가 수도권을 제외한 지방에 집중됐다. 지방 미분양 물량만으로도 정부가 위험수위로 판단하는 6만2000가구를 넘어선 것이다. 미분양 물량이 가장 많은 대구(1만3565가구)는 신규 주택사업 승인도 전면 중단됐으며, 경북(9221가구)과 충남(8653가구) 등 공급이 많았던 지방도 심각한 상황이다.

대구의 한 건설업계 관계자는 "사실 서울과 수도권의 경우 건설부동산 경기가 최악인 적은 없었다"며 "진짜 심각한 곳은 지방 부동산 시장으로 특단의 대책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라고 호소했다.

한문도 연세대 정경대학원 금융부동산학과 교수는 "여유 자금이 없는 지방의 중소형 건설사들은 현재 부동산 시장의 침체와 금리를 버틸 체력이 없다"며 "지방 부동산 시장에 대한 특단의 조치가 없을 경우 지방 건설사의 줄폐업이 우려된다”고 내다봤다.

차완용 기자 yongcha@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