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해 집값 안정?.. 전문가들 "혼조세 또는 약보합"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끝 간 데 없이 오르던 문재인정부의 집값 상승세가 정권 말에서야 다소 안정세에 접어들고 있다.
차기 정부가 출범하는 올해엔 집값이 안정된다는 기대감도 고개를 든다.
장 본부장은 "(3월 대선에서) 누가 당선되든 대출규제를 풀어주기 어렵다고 본다면 실수요자들은 저가 아파트나 3기 신도시 사전청약 쪽을 알아볼 것"이라며 "올해 입주물량이 부족한 건 사실이지만 금리 상승과 거래량 감소가 겹치는 상황에서 집값이 오르지는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공급확대 공약이 개발호재 역할
끝 간 데 없이 오르던 문재인정부의 집값 상승세가 정권 말에서야 다소 안정세에 접어들고 있다. 차기 정부가 출범하는 올해엔 집값이 안정된다는 기대감도 고개를 든다. 금리 인상과 공급 확대 공약 등이 낙관적 전망을 부추긴다.
하지만 집값 안정을 예상하는 전문가들은 드물다. 상승세가 꺾였다고 보면서도 혼조세 내지는 약보합을 진단한다. 올해 가장 큰 변수로 예상되는 대선이 부동산시장에 끼칠 영향이 크지 않다고 보는 것이다. 하반기에는 집값 감소 폭 이상으로 전셋값이 올라 서민 주거는 더 어려워질 수 있다는 비관론도 제기된다.
4일 업계에 따르면 올해 부동산 시장의 첫 변곡점은 ‘3월 대선’이다. 양대 후보의 공약에 따른 유불리를 가늠하며 시장은 관망세에 들어간 상태다. 지난해 11월 서울의 아파트 거래량은 1354건으로 2020년 11월(6367건)에 비하면 턱없이 적은 수준으로 줄었다.
단순히 관망이 아니라 투자심리가 완전히 꺾였다는 분석도 나온다. 금리 인상과 거래절벽 현상이 동시에 벌어지면서 집값 상승에 대한 기대감이 완전히 사라졌다는 것이다. 장재현 리얼투데이 리서치본부장은 “시장은 규제가 심하고 금리가 높아도 투자수익이 된다고 하면 사고 보는데, 지금은 투자심리가 많이 꺾인 상태”라며 “아파트를 사봤자 가격이 떨어지는 것밖에 예상이 안 되는 상황에서 위험부담이 크다고 본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최대 변수인 대출규제의 입김은 당분간 이어질 전망이다. 장 본부장은 “(3월 대선에서) 누가 당선되든 대출규제를 풀어주기 어렵다고 본다면 실수요자들은 저가 아파트나 3기 신도시 사전청약 쪽을 알아볼 것”이라며 “올해 입주물량이 부족한 건 사실이지만 금리 상승과 거래량 감소가 겹치는 상황에서 집값이 오르지는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러나 올해도 집값이 크게 오른다는 예측도 만만찮다. 공공주도냐 민간주도냐의 차이가 있을 뿐 여당과 야당이 공통으로 공급 확대를 약속하면서 개발 호재가 작용한다는 분석이다. 이은형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책임연구원은 “주택을 공급하려면 교통인프라 계획 등을 함께 밝힐 텐데 주택 착공은 당장 하지 않더라도 교통인프라 개발은 먼저 들어가고, 이게 결국 집값을 띄울 수 있는 개발 호재”라고 했다.
보유세(재산세+종합부동산세) 과세기준일(6월 1일)을 앞두고도 시장 흐름에 영향을 줄 수 있다. 권대중 명지대 부동산학과 교수는 “여당이 승리하면 상반기에 약보합이 이어지고 하반기에 고가 아파트 위주로 조금 더 오를 수 있다. 야당이 승리하면 6월 1일 이전에 팔 것인지, 보유할 것인지 결정하는 사례가 생길 것”이라고 진단했다.
이택현 기자 alley@kmib.co.kr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Copyright © 국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美 한국계 앵커가 “새해 만둣국 먹었다”는 말이 인종차별?
- ‘오스템 1880억 횡령’ 직원, 여러 계좌로 분산 송금 정황
- “감기약도 못 먹는 임산부, 방역패스 ‘딩동’으로 망신”
- ‘中 짝퉁’ 또 판쳐…불닭볶음면 포장지도 베꼈다
- “상왕의 월권”, “누가 후보냐”…윤석열, 김종인과 결별까지 ‘저울질’
- 춤 추다 딱 걸린 카페 알바생…3500만뷰 터졌다 [영상]
- 청년 일자리 암흑기… 고스펙자도 인턴 다회차 필수
- “尹, 연기나 해” 김종인도 사의…與 “껍데기 자인하나”
- “10번째 신입 이력서를 씁니다” 9년차 저스펙자의 유랑기
- [단독] 무너진 종로상권… 38년 KFC 1호점도 닫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