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는 없어서 난리인데, 작년 공공임대는 16%가 빈집
文정부 들어 임대 50만가구 늘렸지만
넓고 쾌적한 집 원하는 눈높이 못맞춰
문재인 정부 출범 후 4년 동안 전국적으로 공공 임대주택이 50만가구나 늘었지만, 비어 있는 임대주택도 늘면서 공실률이 두 자릿수로 치솟은 것으로 나타났다. 넓고 쾌적한 집을 원하는 수요자의 눈높이를 맞추지 못하고, 양적 확대에만 치중한 탓이다.
2일 국회예산정책처 분석에 따르면, 지난해 LH(한국토지주택공사)가 공급한 공공 임대주택 7만2349가구 중 16.6%인 1만2029가구가 올해 5월까지 임차인을 못 구한 것으로 집계됐다. 여섯 집 중 한 집꼴로 비어 있는 셈이다. 이 중 5657가구(7.8%)는 6개월 넘게 공실인 상태다. 최근 몇 년간 집값과 전셋값이 급등한 상황에서도 시세보다 저렴한 공공 임대주택이 대량 공실로 남은 것이다. 부동산 전문가들은 “사회 초년생이나 신혼부부를 대상으로 한 주택이라며 전용면적 40㎡ 미만의 원룸같이 좁은 집을 대거 공급해 수요자들의 기대에 못 미치기 때문”이라고 분석한다. 공공 임대주택에 대한 주택 수요자들의 부정적인 인식이 여전한 것도 풀어야 할 숙제로 꼽힌다.
하지만 정부는 공공 임대주택의 양적 확대만을 강조하며 성과를 자랑하고 있다. 국토교통부는 1일 “2017년 135만가구였던 공공 임대주택이 올해 185만가구로 늘어난다”며 “전체 주택에서 공공 임대가 차지하는 비율이 OECD 국가 중 9위로 상위권에 올랐다”고 발표했다. 공공 임대주택 확대는 문 대통령의 대표 공약 중 하나였다.
정부는 공공 임대주택을 늘려 임대차 시장을 안정시킨다는 계획이었지만, 지난 4년간 무주택 세입자들의 주거 불안은 한층 심각해졌다. 2017년 5월 2억3914만원이던 전국 평균 전셋값은 지난달 기준 3억2355만원으로 35%나 올랐다. 이창무 한양대 교수는 “공공 임대주택은 소수의 취약 계층을 위한 복지 정책이지 전·월세 시장 안정 대책이 될 수 없다”며 “수요자 눈높이에 맞는 공공 주택 공급을 늘리면서 민간 임대 시장을 옥죄는 불필요한 규제는 과감히 풀어야 한다”고 말했다.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AI홈」부터 「webOS」까지 플랫폼 기업으로 진화하는 LG전자
- 잠실에서 ‘유럽의 크리스마스 마켓’을 즐겨요
- 엔비디아·테슬라 ‘쾌청’… AI 소프트웨어社 팔란티어도 주목해야
- [팔면봉] ‘이재명 위증 교사’ 1심 무죄, 선거법 1심과 반대 결과에 野 안도. 외
- 한국 정부 별도로 사도광산 추도식… “아픈 역사 기억할 것”
- TDF·연금 적격 디폴트 상품, 돈 꾸준히 불려준다
- 시킨 사람은 없는데 처벌 감수하고 위증?… “이례적 판결”
- 이재명 위증교사 1심 무죄, 위증 증인은 유죄
- “사법부 근조” 외치던 李 지지자들, 판결 후 “판사님 감사”
- 정치적 모멘텀 확보한 이재명… ‘지지율 끌어올리기’ 올인할 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