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 매물 부족에..전국 전세시장심리지수 약 5년만에 최고

윤종석 2020. 10. 16. 11: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주택임대차보호법 개정의 여파로 전세 매물이 부족해지면서 전셋값이 상승할 것이라는 심리가 약 5년만에 가장 높게 나타났다.

서울 주택 매매시장 소비심리지수는 정부의 잇따른 부동산 대책의 영향으로 두달 연속 하락세를 보였다.

16일 국토연구원 부동산시장연구센터의 '9월 부동산시장 소비자 심리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의 주택 매매시장 소비심리지수는 8월 137.5에서 129.5로 8.0포인트 하락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 주택 매매심리지수는 두달 연속 하락세

(세종=연합뉴스) 윤종석 기자 = 주택임대차보호법 개정의 여파로 전세 매물이 부족해지면서 전셋값이 상승할 것이라는 심리가 약 5년만에 가장 높게 나타났다.

서울 주택 매매시장 소비심리지수는 정부의 잇따른 부동산 대책의 영향으로 두달 연속 하락세를 보였다.

강남권 아파트 단지 [연합뉴스 자료사진]

16일 국토연구원 부동산시장연구센터의 '9월 부동산시장 소비자 심리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의 주택 매매시장 소비심리지수는 8월 137.5에서 129.5로 8.0포인트 하락했다.

이 지수는 전국 152개 시·군·구 6천680가구와 중개업소 2천338곳에 대한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산출된 것으로, 0∼200 범위의 값으로 표현된다. 심리지수는 95 미만은 하강국면, 95 이상·115 미만은 보합국면, 115 이상은 상승 국면으로 분류된다.

서울의 주택매매 심리지수는 5월 121.5에서 6월 150.1, 7월 155.5까지 치솟았으나 이후엔 하락세를 보이면서 5월 수준으로 근접하고 있다.

7·10 대책과 8·4 공급 대책의 여파로 주택 시장의 '패닉바잉'이 줄어들고 매수세가 누그러진 것으로 풀이된다.

경기의 주택매매 심리지수는 8월 125.7에서 9월 122.3으로 3.4포인트 내려갔다. 인천은 112.1에서 115.0으로 2.9포인트 올랐으나 수치 자체가 높지 않다.

수도권 전체적으론 9월 주택매매 심리지수가 123.7을 기록해 전 달(127.8)에 비해 4.1포인트 하락했다.

지난달 전국의 전세시장 소비심리지수는 123.9를 기록했다. 전국 전세심리지수는 2015년 10월 127.8을 기록한 이후 최고치다.

서울은 131.0을 기록했다. 전 달(132.6)에 비해선 1.6포인트 내려섰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경기는 127.0에서 128.4로 1.4포인트 올랐고, 인천은 116.3에서 121.0으로 4.7포인트 상승했다.

banana@yna.co.kr

☞ 진짜 인성에 문제가…벼락스타 유튜버들 사생활 논란
☞ '이 결혼 반대야'…갓난아이 업고 결혼식 쳐들어간 여성
☞ 담배 100여개비 한꺼번에 피우다 그만...
☞ 최강욱, 윤석열 향해 "개가 짖어도 기차는 달린다"
☞ 유흥업소서 법인카드 사용 고대 교수들…장하성도
☞ 식당은 파리 날리는데 사치품 시장은 초호황, 왜?
☞ "4명 입양하니 5명을 낳게 됐어요"…30대 난임부부 화제
☞ "조용히 삶 마감할래" '극단 선택 암시' 유명 시인 그후
☞ 이근 '두 달 천하'…섭외만 열올리다 제 발등 찍은 방송사들
☞ '나를 위로하는 음식'…1위는 OOOㆍ2위는 치킨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