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주인인게 죄냐".. 결국 헌법소원 나서는 임대차 3법 피해자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정부의 '임대차 3법'(전월세신고제·전월세상한제·계약갱신청구권제)이 사유 재산권을 침해해 위헌이라는 취지의 헌법소원이 제기됐다.
네이버 카페 '부동산악법저지'(6·17피해자모임)·'임대차3법반대' 회원 등은 28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서 "(부동산 입법은) 정부 실패의 책임을 일평생 재산권을 일군 임대인들에게 부담시키는 것"이라며 "소중한 헌법적 가치의 훼손을 더는 두고 볼 수 없다"고 주장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디지털타임스 박상길 기자] 정부의 '임대차 3법'(전월세신고제·전월세상한제·계약갱신청구권제)이 사유 재산권을 침해해 위헌이라는 취지의 헌법소원이 제기됐다.
네이버 카페 '부동산악법저지'(6·17피해자모임)·'임대차3법반대' 회원 등은 28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서 "(부동산 입법은) 정부 실패의 책임을 일평생 재산권을 일군 임대인들에게 부담시키는 것"이라며 "소중한 헌법적 가치의 훼손을 더는 두고 볼 수 없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임대인들이 이미 손해를 보지 않기 위해 계약할 때 임대료를 최대한도로 올리는 식으로 대응하고 있다"며 "신혼부부의 안정적인 거주 수단이던 전세는 사라지고 임대인과 임차인 모두 손해를 보는데 정부의 세수만 늘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부동산악법저지 관계자는 "이번 헌법소원에 200명 정도가 참가했다"고 설명했다.
이날 기자회견에는 이언주 국민의힘 의원이 이끄는 단체 '행동하는 자유시민'도 참여했다. 이들 카페와 단체는 앞서 부동산 정책에 반발하는 서울 도심 촛불집회를 열고서 6·17 대책 관련 헌법소원을 내기도 했다.박상길기자 sweatsk@dt.co.kr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대통령님, 집값 잡는 비법 알려드릴게요"…시민까지 나서서 부동산 훈수
- `전참시` 오마이걸, 기상천외 코믹 본능…제시 `폭풍눈물` 사연
- 정은지 지각, 명수 "그럴거면 빨리말해 개편때 정리하게"
- 이효리 화보 공개…카리스마X프렌치 시크 `대체불가 매력`
- 현아♥던, 속옷 화보 이어 커플룩…숨길 수 없는 `섹시미`
- 남아공 대통령, 보어인 공격 영상에 트럼프 앞서 진땀
- 초조해진 이재명, `내란 프레임` 재가동
- 1분기 술집·숙박업 매출 10% 폭락… 빚더미에 50만곳 문 닫아
- `어려워도 시장개척` 롯데케미칼, 인도네시아 부타디엔공장 이달말 시운전 돌입
- 누리호, 한화에어로에 연내 기술이전 마무리…美 화성탐사 협력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