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 거래 급감에..중개업소 휴·폐업 늘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전국적으로 주택 거래량이 급감한 지난달 부동산중개업소 개업은 줄고, 휴·폐업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달 중개업소의 개업이 줄고, 휴·폐업이 늘어난 것은 전국적으로 주택 거래량이 급감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협회 관계자는 "부동산 규제와 코로나19 여파로 당분간은 주택 시장이 침체기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한다"며 "서울을 비롯해 전국적으로 휴·폐업이 개업을 앞서는 현상이 나타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새 임대차법 시행..전·월세도 '뚝'
전국적으로 주택 거래량이 급감한 지난달 부동산중개업소 개업은 줄고, 휴·폐업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한국공인중개사협회에 따르면 8월 전국적으로 부동산중개업소는 개업 1302건, 폐업 1028건, 휴업 69건으로 각각 집계됐다.
개업은 전달인 7월(1468건) 대비 11.3% 감소했다. 6월 1488건에 이어 2개월 연속 줄어들었다. 휴·폐업은 7월 1087건에서 8월 1097건으로 소폭 증가했다.
지난달 중개업소의 개업이 줄고, 휴·폐업이 늘어난 것은 전국적으로 주택 거래량이 급감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월간 신고 건수를 기준으로 지난달 주택 매매 건수(8만5272건)는 전달보다 39.7% 급감했다. 정부의 잇따른 부동산 규제 대책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주택 구매 수요가 크게 줄었기 때문이다.
지난달 광주, 울산, 충북에서는 개업보다 휴·폐업이 많았으며 제주는 개업과 휴·폐업이 같았다. 서울의 경우 가을 이사철(9~10월)을 앞두고 중개업소 휴·폐업이 6월 141건, 7월 149건, 8월 182건으로 2개월 연속 증가세다.
7월 31일부터 계약갱신청구권제와 전·월세 상한제를 담은 새 주택임대차법이 시행되면서 전·월세 물건이 큰 폭으로 줄어들고, 거래가 얼어붙은 것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특히 지난달 서울에서 중개업소 개업(312건)과 휴·폐업(302건)의 차이는 10건에 그쳐 올 들어 격차가 가장 작았다. 협회 관계자는 “부동산 규제와 코로나19 여파로 당분간은 주택 시장이 침체기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한다”며 “서울을 비롯해 전국적으로 휴·폐업이 개업을 앞서는 현상이 나타날 것”이라고 말했다.
배정철 기자 bjc@hankyung.com
▶ #믿고 보는 #기자 '한경 기자 코너'
▶ 네이버에서 한국경제 뉴스를 받아보세요
▶ 모바일한경 구독신청
ⓒ 한국경제 & hankyung.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식 3억원어치 있으면 세금 폭탄"…증시, 연말이 두렵다
- LG도 놀랐다…버려지는 자투리로 만든 TV '깜짝 흥행'
- "이런 최고지도자 없었다" 반쪽 사과받고 北칭찬 쏟아낸 與
- 카드사가 폰 케이스 팔아 '대박'…6만원짜리 2000개 동났다
- 北 김정은, 공무원 피격 사과에…빅텍·스페코 '급락 반전'
- 한다감 남편 누구길래? "다정한 사업가"
- 장재인, 성폭력 피해 고백 후폭풍 "치마 입고 살보여서? 잘못 직시해야" [전문]
- 김호중·방탄소년단, 스크린까지 뻗은 화력…예매율 1,2위 엎치락 뒤치락
- '애로부부' 소년 같은 남편, 알고보니…함소원 "할리우드st" 경악
- '컴백' 슈퍼엠, 하나 된 슈퍼 에너지로 희망 전할 'K팝 어벤져스' [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