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전세 계약 '14%'..올 최고치 찍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8월 서울의 아파트 임대차 거래에서 높은 보증금과 함께 다달이 집주인에게 월세를 지불하는 형태인 '반전세'의 비중이 올해 최고치를 기록했다.
31일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8월 한 달간(1일~30일) 서울에서 체결된 아파트 전월세 임대차 계약 중 반전세의 비중은 14.3%(868건)이다.
서울시 분류 방식으로 반전세는 보증금이 월세의 240개월 치를 초과하는 형태를 말한다.
보증금 비중이 월세보다 커 시장에서는 통상 '반전세'로 부른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순수 전세는 3개월 연속 감소세
8월 서울의 아파트 임대차 거래에서 높은 보증금과 함께 다달이 집주인에게 월세를 지불하는 형태인 ‘반전세’의 비중이 올해 최고치를 기록했다.
31일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8월 한 달간(1일~30일) 서울에서 체결된 아파트 전월세 임대차 계약 중 반전세의 비중은 14.3%(868건)이다. 이는 지난달(10.1%)과 비교하면 4.2%포인트, 6월보다는 4.4%포인트 증가했다.
서울시 분류 방식으로 반전세는 보증금이 월세의 240개월 치를 초과하는 형태를 말한다. 보증금 비중이 월세보다 커 시장에서는 통상 ‘반전세’로 부른다.
특히 송파구의 반전세 비중은 지난달 14.4%에서 이달 42.8%로 급증했다. 송파구는 지난달 전셋값 상승률이 한국감정원 조사 기준으로 1.74%로 서울에서 강동구(2.02%)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이 오른 곳이다.
송파구를 비롯해 강남구(15.6%). 서초구(14.0%) 등 최근 전셋값이 많이 오른 ‘강남 3구’와 강동구(14.0%), 마포구·관악구(14.9%), 성북구(16.4%) 등이 반전세 비율이 높은 구에 속했다.
반면 순수 전세가 차지하는 비중은 6월 74.1%에서 지난달 73.1%, 이달 72.7%로 3개월 연속 줄어들었다.
이는 새로운 임대차3법의 영향으로 전월세 계약기간이 4년으로 늘어나고 보증금 인상률이 5%로 제한된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집주인들이 4년 뒤를 생각해 임대차 보증금을 미리 올려 받으려 하면서 전세 대신 보증금 인상분을 월세로 돌리는 ‘보증부 월세’ 방식을 선호하게 된 것이다. 보유세 인상으로 세금 부담이 커진 것도 집주인들이 반전세를 선호하는 이유 중 하나로 거론된다.
세입자 입장에선 최근의 저금리 상황에선 전세보증금을 은행에서 빌리는 것이 매달 현금으로 월세를 내는 것보다는 유리하다. 하지만 전세의 월세화 속도가 빨라지면서 임차인의 입장에서는 주거부담이 더욱 늘어나게 됐다.
전월세 물량 품귀 속에 보증금과 월세도 함께 오르고 있다. 실제 서울 송파구 잠실엘스 84.8㎡의 경우 지난달 24일 보증금 6억원에 월세 90만원(25층)에 임대차 계약을 했지만, 지난 20일 보증금 6억원에 월세 140만원(18층)에 거래돼 월세 50만원이 늘었다.
이민경 기자
- Copyrights ⓒ 헤럴드경제 & herald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태풍 ‘마이삭’ 내달 3일 영남 관통…차 뒤집는 강한 바람
- 文 지지율 7주만에 긍정평가 앞서…여야 격차 두자릿수
- ‘여행에 미치다’ SNS에 음란물 게재 논란…경찰 내사 착수
- 반전세 비중 최고치 찍었다…순수 전세는 감소세
- 가을 이사철 시작되는데…수도권 곳곳서 ‘공급 불안’ 신호
- 스가 vs 기시다 vs 이시바…‘포스트 아베’ 놓고 자민당 파벌 꿈틀
- 혼란의 전공의들…부결에 재투표까지, 내부서도 의견 엇갈려
- 검찰, 이재용 부회장 금명간 기소…삼성 수사 1년 8개월 만에 마무리
- ‘퇴임’ 아베, 트럼프·푸틴과 마지막 ‘전화 외교’…韓과는 ‘불투명’
- 2차 재난지원금 선별 지급 급물살…정부, 피해지원-고용 등 보강대책 별도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