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거래 급감..'월세 시대' 닥친다
7월 6300건..9년만에 최소
계속 줄어들던 월세 비중
올 상반기 증가세로 전환
종부세 인상·임대료 규제로
늘어난 비용, 세입자에 전가
◆ 임대차법 후폭풍 ◆
이 같은 상황에서 윤준병 의원 등 더불어민주당 인사들이 '전세와 월세는 크게 다르지 않다'는 취지로 발언한 것에 대한 비판이 쏟아지고 있다. 시중금리가 낮아 전세 보증금을 마련할 때 내는 이자가 월세보다 적어 임차인 입장에서는 부담이 훨씬 작기 때문이다. 계약이 끝나면 돌려받을 수 있는 전세금과 달리 월세는 즉각 '사라지는 돈'임을 고려해도 여당 의원들이 현실을 너무 모른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3일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 아파트 전세계약은 6304건으로 나타났다. 서울시가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2011년 이후 처음 6000건대로 떨어졌다.
지난달 서울 다세대·연립주택의 전세 거래량은 4501건으로 작년 7월(5603건)보다 20% 줄었다. 단독·다가구주택은 3193건으로 전년 동기(4900건) 대비 65% 수준에 그쳤다.
2016년 이후 전국 전월세 거래량 중 월세(반전세 포함)가 차지하는 비중은 계속 줄어들었다. 하지만 올해 상반기는 되레 40.5%로 지난해(40.1%)보다 0.4%포인트 올랐다. 서울은 올 상반기 41.7%로 작년(40.4%)보다 1.3%포인트 상승했다. 저금리 상황이 지속되며 집주인들이 월세를 선호하는 가운데 상반기부터 종부세 등 세금 강화와 임대차 3법 등으로 정부의 초강력 규제가 예고되자 전환 속도가 더 빨라진 것으로 해석된다. 전문가들은 월세 비중이 높아지면 서민 주거 부담이 더욱 커진다고 지적한다. 강북구 번동주공4단지 전용 44㎡는 현재 전세 매물이 거의 없지만 시세가 1억4000만원에 형성돼 있다. 이 매물의 월세 시세는 보증금 1000만원에 60만원이다. 만일 전세 수요자가 1000만원이 있고 전세금을 충당하기 위해 1억3000만원을 빌렸다면 매달 이자로 약 28만원(은행 평균 대출금리 2.5% 적용)을 내면 된다. 월세를 살게 되면 매달 주거비 부담이 2배로 껑충 뛰는 셈이다.
[손동우 부동산전문기자 / 나현준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월세 사는 좋은 세상? 월세 전환땐 느는 비용이..
- 강남·여의도 고밀개발 검토..10만가구 추가로 나온다
- LH사장 "文정부 주택정책, 이명박·박근혜보다 낫다"
- [매부리TV] 세종시로 수도 옮겨도 서울 집값 안떨어진다
- [매부리TV]심교언이 말한다 "내가 장관된다면 30대 대출 규제부터 풀겠다"
- 강경준, 상간남 피소…사랑꾼 이미지 타격 [MK픽] - 스타투데이
- AI가 실시간으로 가격도 바꾼다…아마존·우버 성공 뒤엔 ‘다이내믹 프라이싱’
- 서예지, 12월 29일 데뷔 11년 만에 첫 단독 팬미팅 개최 [공식] - MK스포츠
- 이찬원, 이태원 참사에 "노래 못해요" 했다가 봉변 당했다 - 스타투데이
- 양희은·양희경 자매, 오늘(4일) 모친상 - 스타투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