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5개 공급카드 만지작.. 전문가 "시장 안정엔 역부족"
기획재정부·국토교통부 등으로 구성된 정부의 '주택 공급 확대 태스크포스(TF)'는 이달 말 서울 아파트 공급 대책을 내놓겠다고 발표한 상태다. 그러나 '그린벨트 해제' 등 방안이 논란 끝에 무산되면서 어떤 카드를 내놓을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린다.
정부가 검토 중인 공급 방안은 ▲규제 개선을 통한 도심 고밀(高密) 개발, ▲3기 신도시 용적률 상향, ▲유휴 부지 및 국가시설 개발, ▲공공 재개발·재건축, ▲도심 내 공실 상가·오피스 활용 등 크게 5가지다.
이 중 가장 현실성 있는 방안으로 거론되는 것이 문재인 대통령이 언급한 태릉골프장을 비롯, 성남골프클럽, 용인 88컨트리클럽(CC), 광주 뉴서울CC 등 공공 골프장 활용 방안이다. 4곳 모두 개발할 경우, 산술적으로 9만~10만 가구를 지을 수 있다. 그러나 88CC와 뉴서울CC는 회원제여서 난관이 많고, 성남GC는 바로 옆 위례신도시 주민들의 반발이 예상된다. 이 때문에 '태릉골프장 외에는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얘기가 정부 내에서도 나오고, 이것만으로는 1만 가구 이상을 짓기 어렵다.
강남구 대치동 서울무역전시장(SETEC·4만㎡), 개포동 서울주택도시공사(SH·4만3745㎡) 부지, 잠실·탄천 유수지 활용 방안도 거론된다. SETEC은 인근 동부도로사업소 부지(5만㎡)까지 연계 개발하면 7000가구, SH는 2000가구 정도 공급 가능하지만, 인근 주민들의 반대가 심하고 공급 물량도 적은 게 한계다. 이은형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책임연구원은 "강남의 자투리땅을 모두 모아도 공급량이 2만 가구에 미치기 어렵다"고 말했다.
평균 180%인 3기 신도시의 용적률을 법정 한도인 220%로 높이는 방안도 거론되지만 '쾌적한 도시'를 표방하는 정부 입장과 상충된다. 공공 재개발·재건축이나 공실 오피스 활용 방안은 민간 참여를 이끌어낼 인센티브가 있어야 하는데 부동산 개발 이익을 불로소득으로 보는 현 정부의 정책 기조와 맞지 않는다.
권대중 명지대 교수는 "가장 근본적 대안인 민간 재건축·재개발 활성화를 배제한 채 당장 서울 주택시장을 안정시킬 공급 효과를 내는 건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미성년자와 모텔 투숙한 30대, 경찰 피해 난간 매달렸다 추락
- 최측근서 최대 정적으로... 머스크 신당 창당 선언
- ‘왓 어 원더풀 월드’ 루이 암스트롱 [신문에서 찾았다 오늘 별이 된 사람]
- 왜 이제 알았나, 매일 아침 공복에 올리브유를 먹은 후 몸에 온 변화
- 아내 외도 잡으려 사설탐정에 1000만원... 결과는 [이별전쟁]
- 시진핑은 박근혜 전화를 받지 않았다
- 한여름엔 집에서 시원하게 계단 오르기 운동, 무더위 걷기의 2.5배 칼로리 소모
- 자연산 통영 바다장어, 9마리에 2만4900원 특가 공구
- 실외기 필요없는 이동형 에어컨, 16도까지 온도 확 낮추는데 36만원 특가
- 물걸레 기능도 있는 한국 기술 로봇청소기, 19만9000원 특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