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서 일시적 2주택자發 급매물 쏟아져
양도세 비과세 혜택 받으려면
1년 이내 기존 주택 처분해야
매각 대신에 부부증여 고민도
양도세를 내지 않기 위해 기존 집을 팔아야 하는 일시적 1가구 2주택자의 고민이 최근 깊어졌다. 양도세 비과세는 1주택자에게만 주어지는 혜택이지만, 이사 등을 이유로 일시적으로 2주택이 된 경우도 기존 주택을 팔 때 비과세를 해준다. 지난해 12·16 대책으로 일시적 2주택자의 주택 처분 기한이 2년에서 1년으로 단축되며 '절세 매물'이 속속 나오고 있다.
일시적 2주택자는 최근 정부가 잇따라 내놓은 부동산 대책에 직격탄을 맞았다. 지난해 12·16 대책으로 서울과 세종 전역, 경기 일부 지역 등 조정대상지역에서 일시적 1가구 2주택자가 되면 1년 이내에 팔아야 1가구 1주택 양도소득세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작년 12월 17일 이후 취득한 주택부터는 취득일로부터 1년 이내에 전입하고 기존 주택은 1년 이내에 양도하는 경우에만 비과세 혜택을 받게 됐다. 앞서 2018년 9·13 대책에서도 일시적 2주택자의 주택 처분 기한을 3년에서 2년으로 줄인 바 있다.
집을 산 시점에 따라 9·13 대책 또는 12·16 대책의 영향을 받는다. 위 사례에서 A씨는 9·13 대책을 적용받는다. 일시적 2주택자 A씨는 기존 주택에 2년 거주해야 하고, 신규 주택을 구입한 때로부터 2년 이내에 기존 주택을 매도해야 한다. 즉 기존 주택을 올해 10월까지 매도해야 1가구 1주택 양도소득세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다.
12·16 대책을 적용받는 다른 사례는 서울의 기존 주택을 2018년 10월 매입하고, 서울 신규 주택을 2020년 1월에 구입한 경우다. 이 일시적 2주택자는 기존 주택에 2년 거주해야 하고 신규 주택을 구입한 때로부터 1년 이내에 기존 주택을 매도해야 한다. 또 신규 주택에 1년 이내에 전입해야 한다.
우병탁 신한은행 부동산투자자문센터 팀장은 "일시적 2주택자들은 올해 반등 기미가 안 보이면 매각을 서두를 것으로 보인다"며 "주택 처분 외에 '부부증여'도 가능한데 초고가 주택의 경우 연간 1500만원 전후로 종합부동산세가 줄어든다"고 말했다. 단 보유기간, 임대주택 여부에 따라 다르고, 취득세와 증여세가 추가된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박윤예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분양권 전매 규제때문에.." 송도 줍줍 몰려든 6만명
- [매부리TV] 안전진단 통과 마포구 성산시영 앞날은?
- 강남서 일시적 2주택자發 아파트 급매물 쏟아진다
- 테헤란로·가락시장 인근 고층상가도 '맞벽건축' 한다
- [매부리TV] 전매제한 금지..마지막 막차 탈곳은
- 강경준, 상간남 피소…사랑꾼 이미지 타격 [MK픽] - 스타투데이
- AI가 실시간으로 가격도 바꾼다…아마존·우버 성공 뒤엔 ‘다이내믹 프라이싱’
- 서예지, 12월 29일 데뷔 11년 만에 첫 단독 팬미팅 개최 [공식] - MK스포츠
- 이찬원, 이태원 참사에 "노래 못해요" 했다가 봉변 당했다 - 스타투데이
- 양희은·양희경 자매, 오늘(4일) 모친상 - 스타투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