좌절의 역사 '용산' 개발, 미니신도시로 '승천'할까
용산정비창 개발 계획이 나오면서 용산이 다시 주목받고 있다. 이명박 전 대통령이 서울시장이던 시절부터 오세훈, 박원순 시장에 이르기까지 개발 계획이 검토됐지만 무산되거나 백지화되거나 보류돼 왔다.
정부가 다시 서울 용산 정비창 부지에 ‘미니 신도시급’ 8000가구를 공급하겠다고 밝혔다. 공급 보다 수요억제에 초점을 맞춰온 문재인 정부의 첫 서울 도심 공급계획이다.
이러한 뛰어난 입지는 오히려 용산의 발전을 가로막았다. 일제시대 일본군에 이어 해방 후에는 미군의 주둔지가 되는 등 100년 넘게 '우리 땅'이지만 쳐다볼 수 밖에 없는 곳이 되면서 개발은 요원했다.
용산은 이명박 전 서울시장 시절 뉴타운 등 개발사업 본격화와 오세훈 전 서울시장 한강르네상스의 핵심으로 떠오르면서 스포트라이트를 받기 시작했다.
특히 2006년 코레일 용산 정비창 부지 51만5483㎡를 중심으로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이 제시되자 용산은 날아오를 준비를 했다. 총 31조원의 사업비를 투입해 초고층 빌딩 23개를 지어 동북아 비즈니스 허브로 키우겠다는게 당초 목표였다. ‘단군 이래 최대 개발사업’이라는 별칭이 뒤따랐다.
하지만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와 2009년 용산 참사로 용의 승천은 좌절됐다. 금융위기로 부동산 시장은 빠르게 냉각됐고 자금조달이 쉽지 않았다. 용산 참사는 전면철거 방식의 기존 재개발과 재건축에 대한 비난을 불러 사업 시행자들의 부담을 키웠다.
이어 2011년 박원순 서울시장 취임으로 한강르네상스가 백지화되고 뉴타운 출구전략 등이 이어지면서 한남뉴타운 등 용산 일대 재개발·재건축이 다시 움츠러 들었다. 특히 2013년 3월 용산개발 사업시행자인 ‘드림허브’가 52억원의 ABCP(자산유동화기업어음) 이자를 내지 못해 1차 부도를 내면서 용산 국제업무지구 개발은 결국 어그러졌다.
이번 5·6 수도권 공급 대책에서 발표한 대로 8000가구를 짓는 서울 용산 정비창 개발은 공공개발 방식으로 추진된다. 서울 강서구 마곡 지구처럼 서울주택도시공사(SH) 등이 시행을 맡아 사업을 주도할 가능성이 높다. 과거 국제업무지구 개발계획 당시 주택공급 규모는 5000가구였지만 이번에 8000가구로 늘면서 임대주택과 중소형 가구 증가에 대한 우려가 큰 것도 사실이다. 정부는 공공임대를 30% 수준에서 제한하고 청년이나 신혼부부 중심으로 공급하겠다는 계획이다.
시장에서는 벌써부터 ‘로또 분양’에 대한 기대감이 확산되고 있다. 도심에도 불구하고 분양가 상한제 적용으로 분양가가 주변 시세에 못 미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2017년 용산역 바로 앞에 준공한 주상복합아파트 ‘래미안 용산 더 센트럴’과 ‘용산 푸르지오 써밋’의 3.3㎡당 매매시세는 현재 5000만원에 달한다.
한편 집값 상승을 부추길 수 있는 삼성동 현대차 글로벌비즈니스센터(GBC) 착공하고 용산 정비창 부지 개발이 발표되면서 정부와 서울시가 집값 바닥을 확신한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온다. 서울시는 줄곧 집값 하락이 가시화되지 않는 한 ‘용산 개발’ 카드는 꺼내지 않을 것이란 입장을 고수해 왔다.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지난 4일 기준 서울 아파트값은 전주대비 0.06% 하락해 지난주 하락폭 0.07%에 비해 낙폭을 줄였다. 부동산114 조사에서도 이번주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대비 0.04% 내려 지난주 낙폭 0.07%에 비해 하락폭을 줄였다.
임병철 부동산114 수석연구원은 “그동안 오른 것에 비해 가격 하락폭이 작은데다 추가 하락에 대한 우려로 섣부른 추격 매수는 없을 것”이라면서도 “서울 도심에 7만가구를 추가공급하는 등의 5·6 수도권 공급 대책으로 매수 관망세에 힘을 보탤 전망”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 韓진단키트 석달만에 400만원→2800억..관세청 "이런건 처음 본다"
- 코로나 성관계로도 전염? 정액서 바이러스 나왔다
- 송승헌, 아버지 사진 공개.."잘생긴 이유 있었네"
- '싼값'에 中공장 돌리던 韓기업들, 상상도 못한 일이..
- 이하늬, 속옷 화보 공개.."여름엔 냉장고 브라"
- 김문수-이준석 지지율 동반 상승…"김문수 40% 넘기면 단일화 탄력" - 머니투데이
- "개미 빼고 던진다" 美 신용등급 하락에 '주르륵'…코스피 조정 시작? - 머니투데이
- "이 여성이 손흥민 협박녀" 엉뚱한 사람 지목…몸매 평가까지 - 머니투데이
- 추신수 몰래 '4억 차량' 처분해버린 아내…"질투나 꼴보기 싫다" - 머니투데이
- "김수현 때문에 60억대 손해"…대만 세븐일레븐, 손배 소송 나서나 - 머니투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