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투리 재개발·임대 늘려 집값 안정 쐐기?.. 시장선 "역부족"
정비사업 공공주도 임대 논란 증폭
민간과 인프라·재원조달 갈등 우려
사업성 떨어지고 현실성 없다는 評
주무 부처인 국토교통부는 지난 6일 발표에서 "12·16 대책 이후 서울 등에서 투기수요가 사라지고 점차 안정화되고 있어 공급 측면에서 시장 안정세를 더욱 공고화하고자 대책을 발표한다"고 밝혔다. 또한 2023년 이후 수도권에 연평균 25만가구의 주택을 공급하기로 해 정부가 일관되게 견지했던 '부동산 안정화'에 '공급확대'라는 마지막 쐐기를 박은 셈이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서울 내 '자투리 재개발', 가로주택 등 소규모 위주의 사업이나 임대주택 확대로는 시장의 잠재된 내집 마련 수요를 온전히 대체하기에는 힘들어 보인다는 의견을 내놨다. 더구나 현재 서울을 포함한 주택시장의 하락은 정부의 정책 효과보다 코로나19 확산세가 불러온 전반적인 외부충격에 의한 것이라고 보는 시각에 무게가 실린다.
■정비사업 공공주도 인센티브
7일 국토부에 따르면 이번 공급 기반 강화방안의 골자는 △정비사업 활성화 4만가구 △유휴공간 정비 및 재활용 1만5000가구 △서울 도심 내 유휴부지 추가 확보 1만5000가구 등이다.
지난해 12·16 대책 발표 당시 예고했던 주택공급에 관한 추가 대책으로 공공주도로 공급을 늘려 집값 안정을 도모하겠다는 것인데, 총선에서 압승한 여당이나 정부 입장에서는 이번 집값 안정화를 확실히 뿌리내리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하지만 일각에선 사업성이 낮은 데다 현실성도 떨어진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전문가들이 가장 지적하는 부분은 정비사업 공공성 강화로 인센티브를 늘리는 대신 임대주택을 확대하는 내용이다.
정부는 사업 추진에 난항을 겪고 있는 재개발사업 등이 앞으로 신설되는 '주택공급활성화지구'로 지정될 경우 조합원 물량을 제외한 50% 이상(전체 물량의 최소 20%)을 공적임대로 공급해야 한다.
대신 국토부와 서울시는 분담금 보장, 분담금 부족 시 대납, 저리 융자 등을 지원한다. 또 용도지역 상향, 기부채납 완화, 분양가상한제 적용 예외 등을 통해 사업 불확실성을 제거하는 데도 도움을 주기로 했다.
하지만 주택공급활성화지구 임대주택의 경우 임대보증금이 시세의 80% 수준으로 결정되기 때문에 그만큼 조합원 부담이 늘어난다. 이 부분이 인센티브로 충족되기 힘들 경우나 규모가 큰 사업장 또는 입지가 좋아서 임대물량을 선호하지 않는 지역의 경우는 현실성이 크게 떨어진다.
시장에서도 이러한 이유로 이번 서울 공급대책은 소규모 정비사업 위주에 그칠 것이란 전망을 내놓는다. 아울러 한국토지주택공사(LH)와 서울주택도시공사(SH공사)가 조합과 공동시행자로 참여하는 공공 재개발은 조합이 분담금을 대납받을 경우 10년간 공공부문과 주택을 공유해야 하기 때문에 사업성이 크게 떨어진다.
■ "시그널은 확실, 현실성은 글쎄"
전문가들은 이번 공급방안은 일종의 '공급 확대=집값 안정'이라는 정부의 정책 시그널로 심리적인 효과는 있지만 시장에 전반적인 영향을 주기에는 부족해 보인다는 평가다.
두성규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선임연구원은 "코로나19의 영향 등으로 부동산이 침체되고 약세 전환되고 있는데 정부는 이에 대한 대안보다 공급부문을 강조한다"며 "서울 공급부족을 해소하기 위해 정비사업의 기존 규제는 유지하고 공공주도형으로 가는 것은 사업성 담보라는 측면에서 현실성이 떨어진다"고 지적했다.
송승현 도시와경제 대표는 "이번 방안으로 서울 도심 내 정비사업의 수익성 상승이 가능하다면 공급실적이 오를 수 있다"고 전제하며 "하지만 주변 인프라 개선, 재원조달, 임대주택 비율을 놓고 민간과의 갈등의 폭이 확대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서울 등 도심 내 직접적인 소규모 공급 확대를 목적으로 한 정책"이라고 선을 그었다. 함 랩장은 "도심 내 대량의 매스공급이 쉽지 않은 상황에서 소규모 정비사업지의 공공성 부여를 통한 사업이 시장에 확실한 시그널을 주고 심리적 안정감을 전하기엔 제한적"이라고 말했다.
kimhw@fnnews.com 김현우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돌싱' 오정연, 과거 실패 트라우마…"男 불신 커" [RE:TV]
- 홍준표 "이재명 당선 시 초대 총리? 사실무근..그럴 일 없어"
- 서민재, '임신 갈등' 남친 저격 "내가 죽어주길 바라나?"
- "가슴 조금 아팠는데…" '웃음 가스' 흡입하고 사망한 21세 女 [헬스톡]
- 한국인과 결혼한 베트남女…“최소 600명 이상 男과 성매매, 성병까지 걸려”
- 오은영, 귀신 붙은 아들 사연에 "아빠한테 문제"
- 박명수, 아유미와 과거 열애 고백 "2시간 동안 사귀어"
- 사유리, 이상민 재혼 소식에 "오빠 나랑 양다리였어?"
- '박성광 아내' 이솔이, 여성암 전조증상 "장기 쥐어 짜내는 느낌"
- 김대호 "MBC서 14년 번 돈 다 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