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산에 8000채 미니 신도시급 복합개발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서울 용산역 차량 정비창 부지에 미니 신도시급 업무·주거·상업시설 복합개발이 본격 추진된다.
2013년 사업비 문제로 좌초됐던 용산 국제업무지구 개발 사업이 사실상 재추진되는 것이다.
이 중 단일 사업으로 가장 규모가 큰 용산역 정비창 개발은 약 52만 m²(약 15만7000평) 부지에 주택 8000채를 포함한 복합시설을 짓는 사업이다.
국토부와 서울시에 따르면 용산역 정비창 사업은 2023년까지 사업 승인을 완료하고 2023년 말 분양을 시작할 예정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 용산역 차량 정비창 부지에 미니 신도시급 업무·주거·상업시설 복합개발이 본격 추진된다. 2013년 사업비 문제로 좌초됐던 용산 국제업무지구 개발 사업이 사실상 재추진되는 것이다. 공공 재개발을 활성화하기 위해 공공 임대주택 비중을 높이면 분양가상한제 예외, 용적률 상한 조정 등 혜택도 추진된다.
6일 국토교통부는 이 같은 내용의 ‘수도권 주택공급 기반 강화 방안’을 발표했다. △수도권 국공유지 등 유휴 부지에 1만5000채 △준공업지역 규제 완화, 공실 사무실 및 상가 활용 등을 통해 1만5000채 △공공성 높은 재개발·재건축 사업에 대한 규제 완화를 통해 4만 채 등 2022년까지 총 7만 채를 공급하겠다는 계획이다.
이 중 단일 사업으로 가장 규모가 큰 용산역 정비창 개발은 약 52만 m²(약 15만7000평) 부지에 주택 8000채를 포함한 복합시설을 짓는 사업이다. 3기 신도시 중 과천지구(약 7000채)보다 규모가 크다. 국토부와 서울시에 따르면 용산역 정비창 사업은 2023년까지 사업 승인을 완료하고 2023년 말 분양을 시작할 예정이다.
일각에서는 이 같은 대책이 수도권 주택 공급 부족을 실질적으로 해소할 것으로 보기에는 부족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심교언 건국대 부동산학과 교수는 “공공성을 높이는 방식의 정비 사업은 사업성이 낮아져 조합이 원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며 “시장 수요와 괴리가 많아 실효성이 있을지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이새샘 iamsam@donga.com·유원모 기자
Copyright © 동아일보.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재난지원금, 생필품 살줄 알았는데.."담배 몇보루씩 사 간다"
- 이재용 "자녀들에 경영권 물려주지 않을 것"
- 폼페이오 "공산정권과 윈윈 없다..18일 WHO 회의에 대만 초청해야"
- 아시아나, 'A380 조종사 자격 유지' NO승객 훈련비행 실시
- 공군, F-35A '프리덤 나이트' 명칭 정하고도 6개월간 비공개 논란
- "한입만, 맛이나 보자" 한국의 음식 공유 문화에..외국인들 반응은
- 英 코로나19 사망자, 3만76명..美이어 2번째로 3만 돌파
- 유럽 이어 美뉴욕도 코로나 관련 '어린이 괴질' 속출
- 코로나19 생활방역 전환 첫날..박물관 찾은 모녀 "숨통 트인 기분"
- 北김정은 상태 파악했던 美, 공식 언급 하지 않았던 이유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