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전문가 "코로나발 집값 하락 금방 회복..빠르면 내년 상반기"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주택 시장이 코로나19 영향으로 금융위기 이후에 나타난 것과 같은 'U'자형 침체를 겪을 가능성이 크다는 연구가 나왔다.
설문에 응한 주택 사업자와 시장 전문가 가운데 50.8%(77명)가 주택시장이 '향후 1∼2년간 하락 후 점진적인 회복세로 전환'하는 U자형 침체를 보일 것으로 전망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디지털타임스 박상길 기자] 주택 시장이 코로나19 영향으로 금융위기 이후에 나타난 것과 같은 'U'자형 침체를 겪을 가능성이 크다는 연구가 나왔다.
주택산업연구원(주산연)은 최근 주택시장 전문가와 주택사업자 151명을 상대로 긴급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이같이 조사됐다고 26일 밝혔다.
설문에 응한 주택 사업자와 시장 전문가 가운데 50.8%(77명)가 주택시장이 '향후 1∼2년간 하락 후 점진적인 회복세로 전환'하는 U자형 침체를 보일 것으로 전망했다.
올해 연말까지 하락 후 내년 상반기부터 회복세로 전환하는 'V'자형 침체가 30.6%였고 '올해 말까지 급락 후 3∼5년간 침체 지속'하는 'L'자형 침체(14.1%), '향후 2∼3년간 하락 후 인구요인에 의한 장기 침체기로 이행'하는 'I'자형 침체(4.7%) 순이었다.
1997년 외환위기 이후 아파트 매매가격은 1년간 전국적으로 18% 급락했다가 이후 반등했으나 이전 수준까지 회복하는 데 3년이 걸려 V자형 침체를 그렸다.
2008년 금융위기 이후에는 5년간 9%까지 점진적인 하락세를 유지하다가 이후 기존 수준으로 회복하는 데 3년이 소요돼 U자형 침체 유형을 보였다.
주산연은 코로나가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최소한 내년 말이나 내후년 상반기까지 지속할 수도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이번 조사에 참여한 시장 전문가와 주택 사업자들의 49.3%는 정부 주택시장 규제에 대해 '전반적으로 시장경제의 기본원리를 저해하는 과도한 상태'라고 응답했다.
규제 완화의 우선순위는 대출 규제 완화, 세제·거래규제 완화, 가격 규제 완화 순이었으며 주택사업자에 대한 금융지원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왔다.
주산연은 "코로나에 따른 주택시장 대책은 수십 차례의 더듬기식 활성화보다는 모든 정책수단 대안을 망라한 뒤 두 차례로 나눠 5월 중 1단계, 6개월 뒤인 11월께 2단계 대책을 과단성 있게 시행하는 것이 효과성 측면에서 바람직하다"고 설명했다.박상길기자 sweatsk@dt.co.kr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1분기 성장률 -1.4%.. 금융 위기 이후 최악
- "우파, 참패하고도 득실계산·남탓.. 보수 코스프레 정치인 그만둬야" [홍성걸 국민대 행정학과 교수에게 고견을 듣는다]
- 민주당 "엄중 징계처리하겠다".. 통합당 "민주당 석고대죄하라"
- [시론] 표류하는 보수와 진보
- '코로나 백신' 드디어 나오나.. 獨 인체 임상시험 승인
- 트럼프, "전쟁종식 논의 위해 푸틴과 19일 통화할것"
- 경기 악화에 자영업자 설 곳 없다… "4개월째 감소, 폐업 신청 3만건"
- 올해도 보험사 건전성 지표 `뚝`… 금감원 자본 관리 옥죈다
- 기나긴 건설사의 겨울… 역세권 개발사업으로 타개한다
- 中 지준율 인하 단행...위안화 절하효과에 美 `가시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