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에 아파트거래 '뚝'..3월달 1년來 최저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달 서울과 경기 주요 지역의 아파트 매매거래량이 큰 폭으로 감소했다.
다만 이들 지역 역시 지난달 코로나19 여파와 2·20대책의 영향으로 거래량과 매매가격 동반 하향 조정이 이뤄졌다.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코로나19로 위축된 소비심리가 매입 관망세로 이어지면서 4월 매매거래량도 이 같은 움직임이 계속될 것"이라며 "공격적인 투자목적의 주택구입이 한동안 감소하고, 실수요 위주의 중저가 주택거래로 제한되면서 풍선효과는 점차 잠잠해질 전망"이라고 말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강남3구·마용성 3월 거래량 급감
거래량 줄었지만, 매매가 소폭 상승
노도강, 수용성도 거래량 줄어
"거래량 감소에 매매값 동반 하락"
13일 직방이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시스템을 분석한 결과 올해 3월 서울 강남3구(강남·서초·송파구)의 아파트 매매거래량은 287건으로 최근 1년 내 최저치를 기록했다. 지난해 10월 2121건의 거래량을 기록한 이후 12·16 부동산 대책 여파로 올해 1월 469건으로 크게 떨어졌다. 이후 봄 이사철 특수와 맞물려 2월 754건으로 소폭 증가했으나 코로나19 영향으로 지난달 다시 떨어진 것이다.
반면 서울 노도강(노원·도봉·강북구)과 경기 수용성(수원·용인·성남시)은 강남3구와 마용성과는 다른 움직임을 보였다. 12·16 대책으로 경기도 중저가 아파트에 관심이 쏠리면서 거래량이 크게 늘며 풍선효과가 나타났다는 분석이다. 다만 이들 지역 역시 지난달 코로나19 여파와 2·20대책의 영향으로 거래량과 매매가격 동반 하향 조정이 이뤄졌다.
다만 낮은 이자부담이 주택담보대출 연체율을 안정적으로 유지시키고 있어 아직 본격적인 거래위축은 나타나지 않고 있다는 분석이다. 함 랩장은 “단기투자 목적의 수요유출이 큰 지역부터 매매가의 흐름이 하향될 가능성은 열려 있다”면서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국내 경제의 불확실성이 한층 높아진 만큼 상당한 자산이 투입되는 주택 매입은 보수적인 접근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박민 (parkmin@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유시민 "대승 or 대망신"..전원책 "이러다 잠룡 몰살"
- 반려견 쓰담고 여유 즐기고..日 아베, 영상 뭇매
- "사생활침해라던 韓은 선거 중..프랑스는 오만했다"
- 확진자 마트서 '콜록'.."바이러스, 2분만에 복도까지 퍼져"
- 이은재, 대검 앞에서 '혈서'..윤석열 호위무사 되겠다
- 차명진, 이번엔 '현수막 OOO'..그럼에도 "후원금 다 찼다"
- '조국 VS 윤석열' 총선 막판 표심 '태풍의 눈' 부상
- 'N번방 사진 보유' 20대 사망에..버벌진트 "기쁘다"
- 조주빈, '인간시장방' 성폭행 모의 '수위별로 가격 매겨'
- 이자도 못내는 한전·발전사 "전기료 통제탓Vs방만경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