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래시장 꽉 막힌 수도권서 인천만 체면치레

2020. 4. 12. 06:09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3월 서울·경기·인천 모두 전월比 거래건수 감소
서울 주택가격 높은 지역, 경기 규제 적용 지역 거래량 감소폭 커
규제지역 편입된 수도권 남부와 달리 인천 풍선효과도 여전
최근 3년간 3월 수도권 아파트 매매거래량 추이 [자료 = 국토부]
2·20 대책과 코로나19 확산 여파로 지난 3월 주택시장은 아파트 거래량이나 가격 상승폭이 전월에 비해 눈에 띄게 감소하며 차갑게 식었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자료와 경기도부동산포털 자료에 따르면, 서울에서 3월 한 달 간 체결된 거래건수는 총 2602건으로, 전월(8074건)의 약 30% 수준으로 급감했다. 같은 기간 경기도와 인천도 각각 3만1695건→1만817건, 8865건→3309건으로 내려 앉았다.

최근 3년간 3월 거래량 수치를 보면 올해 3월 거래량은 9·13 대책 영향을 받은 작년에 비해서는 높지만, 이전인 2018년 3월에 비하면 턱없이 낮은 수준을 보였다. 15억원 이상 고가 주택의 경우 대출이 막히고 집을 산 후엔 자금 출처 규명용 자금조달계획서를 내도록 한 2·20 대책이 직격탄으로 작용했다는 게 업계의 중론이다. 여기에 코로나19 장기화에 세계적인 경기침체 우려까지 겹치며 거래시장은 빠르게 냉각됐다.

지난 달 서울 구별 거래량을 보면 비교적 아파트 가격대가 높은 곳보다는 낮은 지역에서 거래가 많았다. 강남구·서초구·송파구의 3월 거래량(국토부 자료 참고)은 각각 74건, 59건, 72건으로 전체 서울 아파트 거래에서 2.8%, 2.3%, 2.8%를 차지했다. 이는 지난해 연간거래량(6.2%, 4.2%, 7.7%)보다 적은 수준이다.

이에 비해 구로구, 금천구, 노원구의 거래 비율은 작년(4.7%, 2.0%, 9.8%)에 비해 8.1%, 5.2%, 14.1%로 확대됐다.

아울러 작년 하반기부터 서울 풍선효과로 주목 받은 경기도에선 규제지역일수록 거래량 감소폭이 컸다. 실제 2월 20일 전지역이 조정대상지역으로 묶인 수원은 2월 3642건에서 3월 532건으로 거래량이 급감했다. 이어 용인시(3904건→777건)와 의왕시(527건→111건), 안양시(1563건→379건), 성남시(1016건→230건) 감소 추세를 피하지 못했다.

2019년 이후 서울, 인천 월간 아파트 매매거래량 추이(건) [자료 = 국토부]
하지만, 수도권 대부분 지역의 거래건수가 감소할 때 양호한 시장 상황을 유지한 지역도 있다. 바로 인천으로, 지난해부터 월간 거래량을 보면 3월 거래량이 비슷한 서울에 비해 인천은 거래량 등락폭은 상대적으로 작았다. 매달 2000건 수준을 보이던 아파트 매매 거래량도 작년 11월부터 늘기 시작해 올해 2월 정점을 찍었다. 3월에는 코로나19 확대 예방을 위해 시행된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해 거래건수가 예년수준으로 감소하긴 했지만, 다른 수도권 지역에 비해서는 선방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이 같은 배경에는 인천이 비규제지역으로 대출이나 청약 문턱이 낮아 투자수요가 몰렸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지난해 12·16 대책이 서울의 집값과열을 정조준하면서 경기도와 인천에서 풍선효과가 나타나기 시작했다. 현재 경기도 수원, 안양, 의왕 등이 조정대상지역으로 편입되며 풍선효과가 사그러 들었지만, 인천은 아직도 비규제 지역으로 남아 있다.

김운철 리얼투데이 대표는 "정확한 3월 거래량은 4월 말이 되어야 알 수 있지만, 각종 대외변수로 인한 거래량 감소는 피할 수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른 경기침체로 집값 하방압력이 강남권을 중심으로 형성되고 있어 이달에도 수도권 전체 거래실종 현상이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디지털뉴스국]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