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 아파트 16곳 "세금폭탄 될 공시가격 낮춰라"
은마·래대팰 등 대치동과 개포동 아파트 합동
정부가 15억원 이상 고가 아파트의 공시가격을 집중적으로 올리면서 대규모 단지가 밀집된 강남권 아파트 공시가격이 20~40%씩 급등했다. 1년 만에 서울은 전체 평균 14.75% 오른 반면 강남구는 평균적으로 25.57%, 서초구 22.57%, 송파구 18.45%씩 올랐다.
9일 이석주 서울시의원 사무실에 따르면 강남구 대치동, 개포동 일대 아파트 6718가구가 공시가격 발표에 대한 반대의견서를 국토부 산하 한국감정원에 단체 및 개별로 접수했다.
집단 이의신청을 낸 아파트 16곳에는 강남구 대치동 은마·미도·쌍용·래미안대치팰리스와 강남구 개포동 개포5·6·7단지 등이 포함됐다. 강남구 한 아파트 주민은 "지난해 공시가격이 17%(약 15억8000만원→18억5000만원) 올랐으나 올해는 32%(18억5000만원→24억5000만원)나 올랐다"며 "시세는 2018년 더 많이 올랐는데도 정부가 강제로 공시가격 현실화율을 올리다보니 올해 공시가격이 오히려 더 올랐다"고 말했다.
그들은 발표된 공시가격의 집값 산정기준에 오류가 있다고 주장한다. 공시가격은 집값이 최고에 달했던 작년 말 기준이지만 15억원 초과 주택 대출 금지 등 지난해 12·16 부동산대책과 코로나19 사태 이후 수억원 하락된 현재 가격은 전혀 반영되지 않았다는 얘기다.
주민들은 "이건 세금이 아닌 벌금으로 죄인 취급 당하고 계속 쏟아붓는 세금폭탄에 못 살겠다"며 "집 한 채 갖고 있자니 보유세 폭탄, 집 한 채 팔자니 양도세 폭탄에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겠다"고 하소연한다.
그들은 공시가격을 하향 수정해줄 것도 요구했다. 매년 5~10%씩 강제로 올리는 현실화율과 공정시장가액비율을 지금과 같이 어려울 때는 당장 중단 조치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국토부는 올해 공동주택 공시가격은 지난해말 시세를 기준으로 산정하는 게 원칙이라며 최근 일부 실거래가 하락 사례와 올해 공동주택 공시가격과는 무관하다는 입장이다.
한편 공시가 인상안 철회를 요구하는 청와대 청원이 지난달 말 등록된 후 1만8000여명이 동의한 상태다.
[박윤예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쏟아지는 개발공약..종로·은평·삼송 부동산 기대감
- "부담금 줄이자" 재건축 추진위 해체나선 명일 대단지
- 서울 아파트 팔 사람이 살 사람보다 많아..매수 수요 '뚝'
- LH, 전세 임대 입주자 모집 재개
- 대우건설, "TRILLIANT BANPO" 브랜드 앞세워 반포3주구 재건축 자신감 표명
- 강경준, 상간남 피소…사랑꾼 이미지 타격 [MK픽] - 스타투데이
- AI가 실시간으로 가격도 바꾼다…아마존·우버 성공 뒤엔 ‘다이내믹 프라이싱’
- 서예지, 12월 29일 데뷔 11년 만에 첫 단독 팬미팅 개최 [공식] - MK스포츠
- 이찬원, 이태원 참사에 "노래 못해요" 했다가 봉변 당했다 - 스타투데이
- 양희은·양희경 자매, 오늘(4일) 모친상 - 스타투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