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경매, 2회 이상 유찰건 노려라
경매시장이 위축되면서 11월 들어 2회 이상 유찰된 아파트가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서울 아파트 10건 중 3건은 감정가의 64% 이하로 최저가가 낮아졌다.
17일 부동산경매전문업체 지지옥션에 따르면, 11월1일부터 15일까지 서울지역의 2회 이상 유찰된 아파트는 전체 진행된 259건 중 72건으로 28%에 달했다. 지난 9월에는 16%, 10월에는 17%로 9,10월 대비 10%포인트 이상이나 늘어난 것.
법원경매 부동산은 한번 유찰될 때마다 20~30%씩 가격이 낮아지므로 2번 이상 유찰되면, 감정가 대비 64~49% 이하로 최저가가 낮아진다.
매각률(진행건수 대비 매각건수의 비율)도 11월 들어 현격히 떨어졌다.9월 매각률은 48.8%였다. 이는 경매된 물건의 절반가량이 낙찰되고 나머지 절반은 유찰된 것을 의미한다. 반면 11월 매각률은 29.7%로 올들어 가장 낮았다. 낙찰된 물건이 10건이 중 3건에도 못미치는 셈이다.
실제로 송파구 신천동 롯데캐슬골드(전용 187.7㎡)는 감정가 28억원이었으나 3회 유찰돼 오는 30일 감정가의 51%인 14억3360만원에 서울동부지방법원에서 주인을 기다린다. 양천구 신정동 대림아크로빌(전용 165.3㎡)의 감정가는 10억원이나 2회 유찰돼 내달 4일 최저가 6억4000만원에 서울남부지방법원에서 매각이 예정돼있다. 또 강남구 대치동 청실아파트(전용 148.9㎡)도 2회 유찰돼 30일 감정가의 64%인 12억1600만원에 서울중앙지방법원에서 입찰 붙여진다. 감정가는 19억원이었다. 이 밖에 서초동 서초트라팰리스, 목동 성원아파트 등도 감정가의 64%가격에 경매가 진행될 예정이다.
유찰이 거듭되면서 낙찰가도 동반 하락하고 있다.11월 중반까지 서울지역 아파트 매각가율은 85.4%로 전달 87.0%에 비해 1.6%포인트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지역 아파트 역시 전달 85.8%보다 1%포인트 이상 하락한 84.3%를 기록했다. 인천 지역도 2개월 연속 매각가율이 하락했다.
DTI규제 확대 대상에서 제외된 다세대는 지난 10월까지 상승세를 이어왔으나 11월 상반기들어 매각가율이 하락 반전했다. 서울지역 다세대 매각가율은 전달(95.8%)보다 5.0% 하락한 90.8%를 기록했다. 인천의 다세대 역시 전달(93.0%)보다 6.0% 이상 하락한 86.8%를 기록했다. 경기 다세대도 전달(88.9%)보다 6.5% 하락한 82.4%를 기록했다.
강은 지지옥션 팀장은 "2개월 전만해도 매수시점이 1회 유찰된 아파트가 보편적이었고, 감정가가 시세보다 낮은 경우 신건에 바로 낙찰됐지만 최근에는 2회 이상 유찰된 뒤 매입에 나서고 있다"고 말했다.
장연주 기자/yeonjoo7@heraldm.com [인기기사]
▶ 신효범, 열정가득 라틴댄스로 컴백
▶ 이병헌 이름 딴 '아이팟 터치'
▶ 김제동, 생애 첫 토크 콘서트 연다
▶ 김태희 증명사진 볼만하네
▶ 김준 내 폴라로이드 사진 좀 봐봐.
- 헤럴드 생생뉴스 Copyrights ⓒ 헤럴드경제 & herald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