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학년은 치마·반바지 입지 마" 군기 잡고..20대 젊은 꼰대들

홍상지 2017. 1. 4. 01:51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여자가 뚱뚱하면 남자가 보겠니"
대학 후배에게 외모비하 발언까지
권위주의 서열이 만든 꼰대 문화
대학·회사 내서 소외 안 당하려
젊은이들이 그대로 이어받아

“OOO 선배님 안녕하십니까. 17학번으로 입학하는 신입생입니다.”

“지금 선배 이름 부른 거야?”

“죄송합니다. 선배님 ㅠㅠ”

“‘ㅠ’자 빼. 내가 장난치는 걸로 보여?”
수원과학대 신입생들은 “문장 끝은 ‘다’나 ‘까’로 끝내라” “문자 보낼 때 이모티콘을 쓰지 마라” 등 선배가 정한 규칙을 고발하는 글을 SNS에 올렸다.
지난해 말 수원과학대의 예비 신입생과 재학생이 주고받은 문자메시지다. 최근 이 학교 신입생들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중심으로 선배들의 ‘군기’ 문화를 고발하고 있다. 글을 올린 학생들은 “문자를 보낼 때 이모티콘은 함부로 쓰면 안 되고 문장 끝은 늘 ‘다’ 또는 ‘까’로 끝나야 한다. 선배의 이름도 부를 수 없다”고 말했다. 이들의 고발글로 논란이 커지자 해당 학과는 홈페이지에 사과문을 올렸다.

연세대에서도 비슷한 일이 있었다. 지난해 11월 페이스북 페이지 ‘연세대학교 대나무숲’에는 “OO학과 선배들은 졸업생 반지를 사야 한다며 1~3학년 재학생에게 1인당 13만원씩 내도록 강요했고, 1학년에게는 염색·치마·반바지 금지 등의 지침을 내렸다”는 글이 올라왔다. 이 학교 학생 이모(21)씨는 “여러 학과에서 ‘전통’이라는 미명하에 다양한 꼰대 문화가 이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곳곳에서 ‘젊은 꼰대’ 논란이 일고 있다. ‘꼰대’는 자신의 경험이나 생각을 일반화해 아랫사람들에게 강요하는 어른들을 비꼬는 말이다. 전상진 서강대 사회학과 교수는 “권위주의적 서열 문화, 군대를 연상케 하는 상명하복 강요 문화에 대한 비판적 정서가 깔려 있는 표현이다”고 설명했다. 흔히 노소(老少) 갈등 문제와 연결되지만 최근에는 나이와 무관한 상황에서도 상대의 행태를 지적하는 데 사용된다.

젊은 꼰대라는 뜻의 ‘젊꼰’이라는 신조어도 등장했다. 젊은 꼰대들은 ‘군기’를 강요하거나 회사 생활을 먼저 시작했다는 이유로 텃세를 부리는 이를 일컫는다. 가부장적인 질서에 익숙해져 은연중에 여성을 무시하는 태도를 보이는 경우도 해당된다.


“그 연차 땐 일 많이 해야” 잡무 떠넘기고
회사원 이모(26)씨는 1년 선배로부터 “그 연차 때는 일을 많이 해봐야 한다”는 이야기를 들으며 온갖 업무를 떠맡았다. 잔심부름도 늘 그의 몫이다.
직장 생활 2년차인 이모(26)씨는 1년 먼저 입사한 회사 선배 때문에 곤욕을 치르고 있다. 이씨는 “‘그 연차 때 일을 많이 해봐야 한다. 나도 그랬다’는 이유로 온갖 잡다한 업무가 내게 온다. 그중에는 원래 선배가 해야 할 업무도 포함돼 있다”고 말했다. 회사원 임모(27)씨는 “입사 초반에 나이가 나보다 세 살 어린 선배가 다짜고짜 반말을 했다”며 “부당하다고 생각했는데 얼마 전 들어온 막내 직원에게 비슷한 행동을 하는 날 발견한 뒤 ‘나도 무의식중에 젊꼰이 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말했다.
지난해 결혼한 대학원생 한모(27)씨는 한 남자 선배로부터 “살쪘다”는 소리를 들으며 “부인이 뚱뚱하면 남자가 집에 들어가고 싶겠느냐”는 말을 들었다.
젊은 꼰대들의 ‘습격’은 일상 대화에서도 나타난다. 지난해 9월 결혼한 대학원생 한모(27)씨는 최근 한 남자 선배로부터 “살쪘다”는 소리를 들었다. 그것까진 괜찮았다. 문제는 다음 발언이었다. “부인이 뚱뚱하면 남자가 집에 들어가고 싶겠니? 여자는 결혼하고 나서도 관리를 잘해야 돼.”

윤인진 고려대 사회학과 교수는 “학교·직장 내에서 공동체를 안정적으로 이끌기 위해 오래전부터 지켜온 서열 문화, 소위 꼰대 문화를 젊은 세대가 별다른 대안 없이 자연스럽게 답습하기 시작했다”고 풀이했다. 기존의 ‘꼰대 문화’가 만연한 경쟁 사회에서 청년들이 소외당하지 않기 위한 하나의 방편으로 자연스럽게 ‘젊꼰’의 삶을 택하게 됐다는 설명이다. 윤 교수는 “한국 사회를 강, 사람을 물고기에 비유한다면 결국 강이 바뀌지 않는 한 물고기는 그 환경에 순응할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중앙일보·JTBC가 최근 만든 온라인 의견 수렴 공간인 ‘시민마이크(http://peoplemic.joins.com)’에는 일반적 ‘꼰대 문화’에 대한 문제 제기가 여러 건이 올라왔다. 페이스북 아이디 ‘Eun Jeong Rae Kim’은 시민마이크(http://peoplemic.joins.com)에 “상명하복식의 구시대적인, 효율성 없이 야근을 강요하는 회사에 다니고 싶지 않다”고 적었다. 트위터 아이디 ‘Se Jin Park’은 “경직된 질서를 유지하기보다 수평적이고 개인의 가치를 존중하는 사회가 됐으면 좋겠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홍상지 기자 hongsam@joongang.co.kr

대통령상 달라졌다, 盧땐 능력-MB땐 소통…지금은

국정원 겨누는 특검, 이병기 전 원장 자택 압수수색

역풍 맞은 김진태···지역구 학교 '국회의원 표창' 거부

[단독] "우병우, 대학총장 후보 성향 거론하며 결격 주장"

후~ 불기만 하면 폐암 진단···질병 체크하는 센서 개발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