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니+] 인사담당자 40% "업무 습득 느린 답답이형 채용 후회"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많은 구직자들이 짧은 면접 동안 자신의 가치를 다 보여줄 수 없었다는 푸념을 내뱉지만 기업 인사 담당자들도 입사 지원자들을 제대로 평가할 수 없는 것은 마찬가지다.
16일 취업포털 사람인에 따르면 기업 인사담당자 1,082명을 대상으로 채용을 후회한 직원이 있는지 여부를 조사한 결과 90.3%가 '있다'고 답했다.
인사담당자들은 채용 후회를 최소화하기 위해 가장 필요한 조치로 '체계적인 면접 프로세스 확립'(23.8%)을 1순위로 꼽았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불성실형·뺀질이형 등 뒤이어
"체계적 면접 프로그램 확립을"
16일 취업포털 사람인에 따르면 기업 인사담당자 1,082명을 대상으로 채용을 후회한 직원이 있는지 여부를 조사한 결과 90.3%가 ‘있다’고 답했다. 채용을 후회한 직원의 비율은 연간 채용 인원의 평균 20%로 집계됐다.
채용을 후회한 직원의 유형으로는 △가르쳐도 업무 습득이 느린 ‘답답이형’이 40%(복수응답)로 1위를 차지했다. 이어 △요령 피우고 딴짓만 하는 ‘불성실형’(38.1%) △편한 일만 하려는 ‘뺀질이형’(36.9%) △인사성 등 기본 예의가 없는 ‘싸가지형’(36.9%) 등이 뒤를 이었다. 잦은 지각과 결근을 하는 ‘근태 불량형’과 동료와 갈등이 잦은 ‘트러블메이커’ 형도 각각 34.9%와 26.8%로 적잖은 비율을 차지했다.
응답 기업의 40.3%는 별도의 조치를 취하고 있었다. 이중 ‘주의 및 경고조치’가 70.8%로 가장 많았다. 심지어 자진퇴사를 권유(23.4%)하거나 주요 업무에서 배제(16.5%)하는 경우도 있었으며 심지어 연봉을 동결하거나 삭감한 기업도 9.6%에 달했다. 지금까지 채용을 후회한 직원을 권고사직이나 해고한 적이 있느냐는 질문에 기업 중 32.7%가 ‘그렇다’고 답했다. 채용에 실패한 이유로는 ‘급하게 채용을 해서’가 37.7%로 가장 높았다.
인사담당자들은 채용 후회를 최소화하기 위해 가장 필요한 조치로 ‘체계적인 면접 프로세스 확립’(23.8%)을 1순위로 꼽았다. ‘스펙 외 다른 부분도 평가요소에 반영’(18.7%), ‘퇴사자 충원에 필요한 시간 확보’(17.9%), ‘치밀한 평판조회 실시’(16.2%) 등 의견도 있었다. /변재현기자 humbleness@sedaily.com
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단독] 서울대학교마저..공·자연대 대학원 첫 동시 미달
- 5만원도 안 오른다? '보유세 폭탄' 허상 아닌 진짜 이유
- 카뱅으로 전세대출 받으려던 '고액연봉자' 땅 치는 사연
- "박사 따려다 백수되느니.." 변호사 공부하는 공대생들
- "北김정은, 종전선언 이뤄지면 유엔사 해체 요구할 수도"
- "열심히 했다"..'전교 1등 쌍둥이' 아빠 항변 후 생긴 일
- "이재용 평양 가는 건.." 김성태 작심하고 꺼낸 '한마디'
- 또 취임 후 최저..'文지지율' 추락에 나온 '심각한 분석'
- 금발 미녀들의 '빅토리아 시크릿' 주가 반토막 난 이야기
- 공동명의 땐 종부세 덜 낸다? 당신이 잘 몰랐던 몇가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