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게 암 신호였어?…"새벽에 두통 심해져" 뇌의 비명[한 장으로 보는 건강]

정심교 기자 2025. 2. 8. 11: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두통은 누구나 흔히 겪을 수 있는 증상입니다.

뇌종양의 대표적인 증상은 두통입니다.

오후에 뒷목(목덜미)이 뻣뻣해지는 '긴장성 두통'과 달리, '새벽'에 통증이 심해지는 게 뇌종양의 특징입니다.

따라서 새벽에 반복적으로 두통이 심해지거나, 마비, 시력 저하, 오심, 구토 등의 증상이 동반된다면 뇌종양을 의심하고 즉시 진료받아야 합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두통은 누구나 흔히 겪을 수 있는 증상입니다. 하지만 유독 새벽에 두통이 심해진다면 '뇌종양'을 의심할 수 있다는 사실, 알고 계신가요?

뇌종양의 대표적인 증상은 두통입니다. 오후에 뒷목(목덜미)이 뻣뻣해지는 '긴장성 두통'과 달리, '새벽'에 통증이 심해지는 게 뇌종양의 특징입니다. 장시간 누워 있으면 호흡량이 줄어들고 뇌혈관에 혈액이 몰리는데, 이로 인해 종양이 뇌압을 높이기 때문입니다. 뇌종양 환자의 새벽 두통은 뇌가 보내는 신호란 점에서 '뇌의 비명'이라고도 불리는데요. 따라서 새벽에 반복적으로 두통이 심해지거나, 마비, 시력 저하, 오심, 구토 등의 증상이 동반된다면 뇌종양을 의심하고 즉시 진료받아야 합니다.

뇌종양은 두개골뿐만 아니라 뇌 주변의 뇌 신경, 뇌막, 뇌혈관, 두피 등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보건의료빅데이터에 따르면 국내 뇌종양 환자는 매년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양성 뇌종양 환자는 2020년 4만7675명에서 2022년 5만5382명으로, 악성(암) 뇌종양 환자는 같은 기간 1만1603명에서 1만2140명으로 늘었습니다. 악성 뇌종양 중 하나인 '교모세포종'은 매년 약 1000명이 새롭게 진단받습니다.

뇌종양은 크게 양성과 악성으로 나뉩니다. 양성 뇌종양은 주로 뇌 바깥에서 발생하는데 성장 속도가 느립니다. 이 가운데 '뇌수막종'이 가장 많으며, '뇌하수체 종양'이나 '청신경초종'도 흔히 발생합니다. 악성 뇌종양은 빠르게 커질뿐더러 주위 조직으로 잘 침투해 정상 뇌 조직을 파괴합니다. 특히 전이성 뇌종양은 다른 장기의 암이 뇌로 전이돼 발생하는 경우가 상당합니다.

뇌종양 치료는 종양의 크기·위치·증상에 따라 달라집니다. 작은 양성 종양은 방사선 치료로 치료할 수 있으며, 양성 종양이 크거나 악성 종양인 경우 수술해야 합니다. 악성 종양 땐 방사선·항암 치료를 병행할 수 있습니다. 수술 중 신경 손상 위험이 큰 경우, 환자를 깨워 뇌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확인하며 수술을 진행하기도 합니다. 최근 뇌종양 치료는 주로 내시경 수술이 이뤄집니다. 기존처럼 두개골을 여는 방식이 아닌, 코·눈 주변을 통해 내시경을 넣어 종양을 없애는 방식입니다.

글=정심교 기자 simkyo@mt.co.kr, 도움말=김상대·김명지 고려대 안산병원 뇌종양센터 신경외과 교수.

정심교 기자 simkyo@mt.co.kr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뉴스의 포스트 beta

  • 두통은 누구나 흔히 겪을 수 있는 증상입니다. 하지만 유독 새벽에 두통이 심해진다면 '이 암'을 의심할 수 있다는 사실, 알고 계신가요? 뇌의 비명이 알리는 이 병의 신호를 알아봅니다.

    메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