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美 ‘2+2 통상 협의’ 종료…상호관세 25% 폐지 논의한 듯

김혜린 기자 2025. 4. 24. 22:0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24일(현지 시간) 미국 워싱턴DC에서 열린 한미 '2+2 장관급 통상 협의'가 종료됐다.

상호관세 25% 철폐를 비롯해 미국 정부가 한국에 부과하겠다고 밝힌 관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협의가 이뤄진 것으로 보인다.

이날 미국을 찾은 안덕근 장관은 미 워싱턴DC 인근 덜레스국제공항 입국 직후 기자들을 만나 "상호 관세 부과된 것을 철폐하는 것이 목적이고 자동차 같은 경우 가급적이면 신속하게 이 문제는 저희가 풀 수 있도록 협의해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24일(현지시간) 미국 워성턴D.C. 재무부에서 열린 ‘한-미 2+2 통상협의(Trade Consultation)’에서 스콧 베센트 미국재무장관,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무역대표부(USTR) 대표와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기재부 제공) 2025.04.24. 뉴시스

24일(현지 시간) 미국 워싱턴DC에서 열린 한미 ‘2+2 장관급 통상 협의’가 종료됐다. 상호관세 25% 철폐를 비롯해 미국 정부가 한국에 부과하겠다고 밝힌 관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협의가 이뤄진 것으로 보인다.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이날 오전 8시 경부터 미국 재무부 청사에서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 제이미슨 그리어 무역대표(USTR)와 통상 협의를 시작했다. 협의는 약 1시간 10분 가량 진행됐다.

이날 회담에서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부과한 관세를 둘러싼 양국간 협의가 이뤄진 것으로 보인다. 통상협의를 마친 안 장관은 그리어 USTR 대표와 따로 만나 개별 협의를 이어갔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12일부터 철강·알루미늄 제품에 대해 25% 관세를 부과했다. 자동차에 대해서도 이달 3일부터 25% 관세를 매기고 있으며, 5일부터는 대부분의 한국 수입품에 기본관세를 10%씩 부과하고 있다.

당초 트럼프 대통령은 9일부터 한국을 대상으로 25%의 상호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으나, 중국을 제외한 국가들에 대해서는 관세 부과를 90일간 유예하겠다고 결정했다.

한국 정부는 이번 협상을 통해 트럼프 정부가 부과한 자동차, 철강, 반도체 등 품목별 관세 부담을 최소화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아울러 한국에 책정된 25% 상호관세뿐만 아니라 농축산업·바이오·디지털 분야 등 미국 측이 지적해 온 ‘비관세 장벽’에 대해서도 폭넓은 논의를 가졌을 것이란 예측이 나온다.

이날 미국을 찾은 안덕근 장관은 미 워싱턴DC 인근 덜레스국제공항 입국 직후 기자들을 만나 “상호 관세 부과된 것을 철폐하는 것이 목적이고 자동차 같은 경우 가급적이면 신속하게 이 문제는 저희가 풀 수 있도록 협의해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의 직접 참석 여부는 아직 알려지지 않았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달 16일 관세 협상을 위해 방미한 아카자와 료세이(赤澤亮正) 일본 경제재생상과 만나겠다고 ‘깜짝’ 발표한 후 주일미군 주둔 경비 분담액 등의 개선을 요구한 바 있다.

김혜린 기자 sinnala8@donga.com

Copyright © 동아일보.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