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관세 여파 속 1분기 역대급 매출…하이브리드 판매가 견인
국내 1위 완성차업체인 현대차가 최대 수출국인 미국의 자동차 관세 여파에도 올해 1분기 컨센서스(실적 전망치)를 상회하는 호실적을 기록했습니다.
현대차는 연결 기준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이 3조 6천336억 원으로 작년 동기 대비 2.1% 증가했다고 24일 공시했습니다.
매출은 9.2% 늘어난 44조 4천78억 원으로 집계됐습니다.
이는 1분기 기준 역대 최대입니다.
당기순이익은 3조 3천822억 원이었습니다.
영업이익률은 8.2%로 집계됐습니다.
매출, 영업이익, 순이익 모두 시장 전망치를 뛰어넘는 것으로, 미국의 25% 자동차 관세 부과로 글로벌 완성차 업계가 혼란을 맞은 상황에서 선방했다는 평가가 나옵니다.
현대차는 올해 1분기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판매 대수가 감소했지만, 역대 최대 수준의 하이브리드 판매와 금융 부문 개선, 우호적 환율로 호실적을 이끌었습니다.
현대차는 올해 1분기 글로벌 시장에서 100만 1천120대를 판매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이는 작년 1분기와 비교해 0.6% 감소한 수치입니다.
국내 시장에서는 작년 신차 생산을 위한 아산공장 셧다운 기저효과로 작년 동기 대비 4.0% 증가한 16만 6천360대를 판매했습니다.
해외 시장에서는 미국 판매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1% 증가한 24만 2천729대를 기록했으나, 글로벌 전체로는 대외 환경 악화로 1.4% 감소한 83만 4천760대가 팔렸습니다.
올해 1분기 현대차의 호실적은 하이브리드차 등 친환경차가 이끌었습니다.
친환경차 판매량은 하이브리드 라인업 강화 등에 따른 판매 견인 효과로 작년 동기 대비 38.4% 증가한 21 만2천426대를 기록했습니다.
하이브리드차와 전기차는 각각 13만 7천75대, 6만 4천91대가 글로벌 시장에서 팔린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아울러 올해 1분기 원/달러 평균 환율이 작년 동기 대비 9.4% 오른 1,453원을 나타낸 것도 실적에 긍정적으로 작용했습니다.
현대차는 관세 등 통상 환경의 변화와 이에 따른 실물 경제 침체 가능성이 향후 경영활동의 리스크로 작용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또 국가 간 무역 갈등 심화 등 대외 변수로 예측하기 어려운 경영환경이 지속될 것이라고 내다봤습니다.
이에 현대차는 '디 올 뉴 팰리세이드', '디 올 뉴 넥쏘', '더 뉴 아이오닉 6' 등 신차 판매를 적극적으로 추진하는 동시에 시장별 현지화 전략 고도화로 체계적인 대응책을 실행할 계획입니다.
특히 복합적인 대내외 경영 리스크에 대한 정교한 분석과 미래 경쟁력 확보를 위해 과감한 혁신으로 지속적인 성장 모멘텀을 마련하겠다고 현대차는 전했습니다.
현대차는 지난해 발표한 밸류업 프로그램에 기초해 2025년 1분기 보통주 배당금을 작년 동기(2천 원) 대비 25% 증가한 주당 2천500원으로 책정했습니다.
아울러 주주가치 제고를 위해 발행주식 1% 소각과 자기주식 소각을 동시에 실시합니다.
(사진=연합뉴스)
엄민재 기자 happymj@sbs.co.kr
Copyright ©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각하는 마약에서 못 벗어났다"…돌연 잠적한 날 꺼낸 충신
- '아내 살해' 대형 로펌 출신 미국 변호사 징역 25년 확정
- 10대 독일인 2명, 숙소 예약 안 됐단 이유로 하와이서 추방
- [영상] "엄마!" 생방송 중 부르짖은 앵커…'혼비백산' 밖으로 뛰어나온 사람들
- 저스트비 배인, K팝 보이그룹 최초 커밍아웃 선언
- "연봉 벌었네"…보험사기 제보하고 포상금만 수천만 원? [뉴블더]
- "담배 맛 떨어지니까"…이사 가라며 입주민이 남긴 편지
- '사랑인 줄 알았는데' 재력가 딸 접근해 100억 빼돌렸다
- "국회의장으로서 경고합니다" 한덕수 표정이…"이 무슨!?" 뛰쳐나온 국힘 의원들 [바로이뉴스]
- 군부대 찍고도 '무혐의'…풀려난 중국인 이틀 뒤 벌인 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