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진법사 “국정원 사람들 안다”...‘한국은행 뭉칫돈’ ‘김건희 목걸이’ 미스터리

김현지 기자 2025. 4. 24. 18:34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은신처서 발견된 1억6500만원 출처, 尹 정부 로비설 등 검찰 수사 중

(시사저널=김현지 기자)

2018년 지방선거 당시 불법 정치자금을 수수한 혐의로 기소된 무속인 '건진법사' 전성배씨가 지난 7일 서울남부지방법원에서 열린 불법 정치자금 수수 의혹 관련 재판을 마친 뒤 법원 청사를 나와 차량에 탑승하고 있다. 자료사진. ⓒ연합뉴스

건진법사 전성배씨의 지방선거 공천헌금 의혹에서 비롯된 검찰 수사가 윤석열 전 대통령 부부를 향하는 모습이다. 검찰은 전씨가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舊 통일교, 이하 가정연합) 측에게서 김건희 여사에게 건넬 명목으로 다이아몬드 목걸이를 받은 정황 등을 포착했다. 검찰이 전씨의 은신처에서 압수한 1억6500만원 현금도 전씨의 행적에 의문을 키우고 있다.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남부지검 가상자산범죄합수단(단장 박건욱 부장검사)은 지난 20일 전씨를 피의자 신분으로 소환 조사했다. 검찰은 전씨 휴대전화에 대한 포렌식 결과 통일교 전 세계본부장 윤아무개씨에게서 '김 여사 선물'이라며 고가의 목걸이를 받은 정황을 파악했고, 이와 관련해 전씨를 추궁한 것으로 알려졌다. 전씨는 목걸이를 잃어버려 실제로 김 여사에게 전달하지 않았다는 취지로 진술했다고 전해진다.

전씨와 윤씨는 지난 20대 대통령선거 전후 소통하며 만남을 가져온 것으로 파악된다. 윤씨는 지난 2022년 통일교 내부 행사에서 윤 전 대통령을 3월22일 만나 1시간 독대했다고 주장한 인물이다. 윤씨가 전씨를 통해 윤 전 대통령 부부 등 정치권 관계자들을 접촉한 정황이 검찰 조사 결과 일부 나온 바 있다. 금융권 문제를 윤한홍 국민의힘 의원을 통해 해결하려 했다는 취지의 문자메시지도 검찰은 확보했다(4월16일자 「[단독] "큰 그림 만들자" 검찰, '건진법사-통일교이권 관여 정황 포착」, 4월18일자 「[단독] 막후실세 건진 게이트 열리나…檢, '윤한홍 석산 민원' '한은 뭉칫돈' 정조준」 기사 참조). 

통일교 측은 목걸이의 존재를 비롯해 윤씨의 행적에 대해 내부적으로 알지 못한다는 입장이다. 윤씨와 윤씨의 측근 등은 연락이 닿지 않고 있다. 윤 의원은 전씨와의 관련성을 부인해 왔다. 전씨의 공천 요구나 인사 청탁 등 여러의혹에 대해 사실 무근이라는 취지다. 윤 의원은 현재 재판 중인 전씨의 2018년 지방선거 공천헌금 수수 혐의(정치자금법 위반)와 관련해 거론된 바 있다. 전씨가 윤 의원과의 관계를 내세워 공천헌금을 받았다는 게 검찰 측 판단이다.

검찰은 이러한 상황에서 김 여사 등에 대한 추가 의혹도 겨누고 있다. 전씨는 지난 2021~22년 대선 기간 국민의힘 선거대책본부 산하 네트워크본부에서 상임고문으로 활동했다. 김 여사와 관련한 '배우자 논란' 등 민감한 사안은 이곳에서 논의된 것으로 전해진다. 김 여사가 운영한 코바나컨텐츠 고문으로 활동한 전씨의 이력은 논란을 키운 지점이다. 

검찰이 건진법사 전성배씨에게서 압수한 신권 현금다발

검찰 수사 과정에서 확보된 현금은 의문을 더하고 있다. 검찰은 지난해 12월 서울시 강남구 소재 전씨의 은신처에서 현금 1억6500만원을 발견해 압수한 바 있다. 이 중 5000만원은 비닐로 밀봉된 상태로 보관된 한국은행 신권 다발이었다. 밀봉 시점은 윤 전 대통령 취임 직후인 2022년 5월13일이다. 비닐 겉에는 '한국은행' 표식과 함께 기기 번호, 담당자 등이 기재돼 있다. 이와 관련해 "한국은행이 발행한 밀봉 상태의 뭉칫돈을 일반인이 보관할 수는 없다"는 게 은행권 관계자의 설명이다.

전씨는 이에 대해 "누구에게 돈을 받았는지 기억나지 않는다"는 취지로 검찰에서 진술했다. 현금을 보관한 배경에 대해서는 "기도비 명목"이라고 했다. "사람들이 뭉태기 돈으로 갖다주면 그냥 쌀통에 집어넣고, 이런 식으로 계속 유지를 해 왔기 때문에 기억나지 않는다"는 것이다. 전씨는 또 조사 과정에서 "고위직을 많이 안다"며 "알게 모르게 그 사람들이 왔다 갔다 하는데 경찰 정보, 옛날에는 국정원(국가정보원) 정보 등 이런 사람들이(을) 다 안다"고 한 바 있다. 검찰은 돈의 출처 등을 추적하고 있다.

Copyright © 시사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