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수부 부산 이전?…이재명, 대선 승리 뒤 인천·세종 설득해야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통령선거 경선 후보가 쏘아올린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 공약이 대선 주요 의제로 떠오르면서 박근혜 정부 때 발생했던 지역 갈등이 재연되고 있다.
아이러니하게도 역대 대통령선거에서 지역균형개발을 더 부르짖었던 더불어민주당 계열 대선 본선 주자는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을 공약하지 않았고 국민의힘 계열 후보들이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을 공약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통령선거 경선 후보가 쏘아올린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 공약이 대선 주요 의제로 떠오르면서 박근혜 정부 때 발생했던 지역 갈등이 재연되고 있다. 이 후보가 자신의 공약을 실천하려면 본선에서 승리한 뒤 인천·세종시를 설득해야 하는 과제를 풀어야 한다.
역대 거대 여·야 대통령선거 본선 후보자들 가운데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을 처음 공약한 사람은 이회창 한나라당(현 국민의힘) 후보다. 2002년 대선에서 처음 발표했으나 실현되지 못했다. 노무현 새천년민주당(현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이겼기 때문이다.
이어 2012년 박근혜 새누리당(현 국민의힘) 후보가 이명박 정부 때 해체된 해양수산부를 부활시켜 부산에 두겠다고 했으나 이듬해 해양수산부는 세종시로 갔다. 2017년 대선에선 홍준표 자유한국당(현 국민의힘) 후보가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을 공약했으나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후보한테 패배했다.
아이러니하게도 역대 대통령선거에서 지역균형개발을 더 부르짖었던 더불어민주당 계열 대선 본선 주자는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을 공약하지 않았고 국민의힘 계열 후보들이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을 공약했다.
이 후보가 이번 대선에서 더불어민주당 본선 후보가 된다면 역대 더불어민주당 계열 대선 본선 후보 가운데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을 공약하는 첫번째 후보가 된다. 이 후보가 6월3일 대선에서 승리한다면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 문제가 박근혜 정부에 이어 두번째 시험대에 오른다.
이 후보가 대통령이 됐을 때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 공약을 지키려면 세종시와 인천시를 설득해야 한다. 두 지역의 반발 기류가 예사롭지 않기 때문이다. 실제 최민호 세종시장은 23일 “수산업 관련 인프라가 인천·강원 등에도 있는데 관련 정부 부처가 부산으로 가는 것이 과연 합리적인가 싶다”고 했다. 인천 16개 시민·경제단체는 20일 “주요 기관과 인프라가 이미 집중된 부산·경남에 권한을 몰아주는 행위다. 해양수산부 이전 공약은 부산을 제외한 전국 항만과 수산업을 정책 소외 대상으로 만든다”고 주장했다.
부산 여론은 숙원인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 공약을 간절히 바라지만 실행에 대해선 의견이 엇갈린다.
민주당 지지자들은 이 후보의 추진력에 기대를 걸고 있다. 문재인 정부와 달리 강력한 리더십으로 정면 돌파하지 않겠느냐는 것이다. 부산권 전·현 교수와 연구자 114명은 23일 이 후보의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 공약을 지지하는 입장문에서 “종전과 같은 정치적 수사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성남시장과 경기도지사 시절 수많은 정책을 실현해온 추진력과 성과는 이번 공약 역시 실현 가능성이 매우 크다는 믿음을 심어주고 있다”고 밝혔다.
반면 비판적인 의견도 있다. 주강현 전 국립해양박물관장은 자신의 페이스북에 글을 올려 “해양수산부를 부산으로 옮긴다. 이재명 후보의 섣부른 아무말 대잔치다. 몰라도 너무 모르고 마구 뱉어낸 공약이다. 영남과 부산표 얻겠다는 단순 논리다”라고 주장했다.
김광수 선임기자 kskim@hani.co.kr
Copyright © 한겨레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이재명, 보수 윤여준 영입 이어 이승만·박정희 참배…“통합 급선무”
- SKT 유심 교체, 내 앞에 9만명…온라인 예약 첫날 접속지연
- 한덕수 ‘최측근’ 손영택 비서실장 사표…대선출마 임박했나
- ‘흉기 난동’ 청주 고교생, 교직원 이어 시민 가해…6명 중·경상
- ‘신동호 낙하’ 막히자…이진숙, 현 EBS 사장에 직무정지 가처분
- 홍준표 “노무현처럼 국민만 보고 간다…대통령 못 돼도 실패 아냐”
- 캐나다 ‘필리핀 축제’ 차량돌진 11명 숨져…“인파 볼링핀처럼 날아가”
- 보수논객 정규재 “이재명, 국힘과 달리 증오 대신 통합의 언어”
- “나도 모르게 SKT폰 해지…알뜰폰 개통 뒤 5천만원 인출해 가”
- 윤석열이 받은 투르크 국견 사육비 670만원, 서울대공원이 부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