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조1503억 보험사기의 민낯…"그들은 속였고, 내 보험료는 올랐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보험사기로 인한 피해액이 3년 연속 1조원을 웃돌았습니다.
아시아경제 경제금융부는 이 문제의 심각성을 직시하고, 심층 특별기획 시리즈를 통해 보험사기의 실체를 면밀히 들여다보고자 합니다.
이 직접 수백 건의 판결문과 실제 사례를 전수 분석해 '보험사기'라는 범죄가 어떤 방식으로 작동하고, 왜 점점 더 조직적이고 지능적으로 진화하고 있는지 추적했습니다.
보험사기의 실태를 정밀하게 분석하고, 조직화·지능화된 사기 수법도 구체적으로 재구성했습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①보험사기 1조원 시대, 왜 이렇게 커졌나
②그들은 이렇게 속였다-사기형태 재구성
③보험사기와의 전쟁
④'보험사기' 근절 위해선
보험사기로 인한 피해액이 3년 연속 1조원을 웃돌았습니다. 작년에는 사상 최대 기록까지 세웠습니다. 이 거대한 금액은 어느 날 갑자기 만들어진 것이 아닙니다. 허위 진단서 한 장, 가짜 사고 몇 건, 과장된 치료 청구 하나하나가 쌓여 결국 '1조1503억원'이라는 숫자가 된 것입니다. 문제는 이 모든 비용이 고스란히 선량한 보험 가입자들에게 전가된다는 점입니다. 허위 청구와 조작된 사고가 판을 치는 사이 보험회사의 손실은 곧 보험료 인상으로 이어지고, 그 부담은 우리 모두의 몫이 됩니다.
아시아경제 경제금융부는 이 문제의 심각성을 직시하고, 심층 특별기획 시리즈를 통해 보험사기의 실체를 면밀히 들여다보고자 합니다. 경제금융부 취재기자들(최동현·문채석·오규민 기자)이 직접 수백 건의 판결문과 실제 사례를 전수 분석해 '보험사기'라는 범죄가 어떤 방식으로 작동하고, 왜 점점 더 조직적이고 지능적으로 진화하고 있는지 추적했습니다. 단순히 일부 브로커나 의료기관의 일탈로 치부할 수 없는 구조적 문제도 함께 조명합니다. 보험사기의 실태를 정밀하게 분석하고, 조직화·지능화된 사기 수법도 구체적으로 재구성했습니다.
이번 기획은 단순한 고발을 넘어 실효성 있는 대응책은 무엇이며 우리가 지금 당장 바꿔야 할 제도적 허점은 무엇인지도 함께 묻습니다. 보험사기 전담조직인 SIU(보험사기특별조사팀)의 활동부터, 빅데이터·인공지능(AI) 기반의 기술적 대응, 나아가 처벌 강화와 보험에 대한 인식개선 등 제도적 대응을 면밀히 살펴봅니다. 보험사기 근절을 위한 조사·적발 시스템 고도화, 신속·엄정한 제재를 위한 추가 제도 개선, 보험사기 범죄 양형 기준 강화, 보험사기 수사 강화를 위한 컨트롤타워 설치 등의 필요성도 함께 촉구합니다.
이선애 기자 lsa@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농담인줄 알았는데…사비로 직원 100명에 진짜 해외여행 쏜 대표님 - 아시아경제
- "교사는 고기반찬, 중학생은 양념만"…급식 사진에 중국 '발칵' - 아시아경제
- 황교안과 TV토론하던 무소속 후보…'전과 17범' 이력 화제 - 아시아경제
- "양치 직후 구강 청결제 바로 사용하면…" 치아 관리 전문가의 경고 - 아시아경제
- "빙수 한 그릇이요…카드결제 15만원 나왔습니다" - 아시아경제
- "기저귀 찬 아이가 마트에 있어요"…경찰 달려가 보니 - 아시아경제
- 일주일새 두 여성과 결혼하려던 공무원, '양다리 교제' 들통나 해고 - 아시아경제
- [단독] 중국 이직하려고 하이닉스 HBM기술 아이패드로 77장 찍었다 - 아시아경제
- "오늘 두 마리, 내일 더 풀거야"…개짖는 소리에 뱀으로 항의한 입주민 - 아시아경제
- '등골 오싹' 괴담 풀더니 건물주 등극…디바제시카, 128억 빌딩 매입 - 아시아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