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벽 없는 키오스크' 의무화 "졸속행정" 비판 나오는 이유
[앵커]
키오스크 가게가 훌쩍 늘었지만 고령자나 장애인은 이용하기 어렵다는 지적이 나오죠. 그래서 정부가 올해부터 큰 글씨에 음성 안내 기능까지 갖춘 '장벽 없는 키오스크'를 의무화하고, 이를 어기면 과태료 최대 3천만원을 매기기로 했습니다.
현장 곳곳에선 졸속이란 비판이 쏟아지고 있다는데, 박소연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먹고 싶은 음식을 고르고 결제까지 직접하는 무인정보단말기, 키오스크입니다.
서울 음식점 10곳 가운데 3곳에선 이미 도입했을 만큼 빠른 속도로 우리 일상에 들어왔습니다.
하지만 이런 변화가 달갑지 않은 사람도 적지 않습니다.
[박미자/서울 마포구 키오스크 강좌 수강생 : 뒤에 있는 사람들 생각하다 보니까 더 떨리는 거예요. 차근차근해야 하는데 몸에 익숙하지가 않더라고요.]
정부는 올해부터 큰 글씨에 점자, 음성 안내 기능까지 갖춘, 장벽 없는 키오스크 설치를 의무화했습니다.
이런 기능이 없는 키오스크가 설치된 가게는 내년 1월 말 안에 교체하도록 했는데, 어길 경우 과태료를 최대 3천만원 매기기로 했습니다.
자영업자들은 부담을 호소합니다.
[김종득/자영업자 : (기존 키오스크를) 교체해야 하는데 (한차례 보조금을 받아) 중복으로 지원이 안 된다고 해서 (정부 지원) 제외 대상이 됐습니다. 자부담 500만원으로 교체를 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습니다.]
비용도 문제지만, 인증 받은 국내 생산업체는 3곳 뿐입니다.
이들 업체가 최대로 생산하더라도 1년에 3천 대 수준이 될 것으로 정부는 추산하고 있습니다.
의무 사업장 3만 8천 곳과 비교하면 적은 숫자입니다.
규제를 유예해달란 요구는 쏟아지고 있지만 통일된 채널이 없는 것도 문제입니다.
이 정책을 주도하는 건 복지부, 기술 검증은 과기부, 보급률을 늘리기 위해 보조금을 지급하는 건 중기부 소관입니다.
공급 업체들 사이에선 시행과 유예를 반복하다 결국 흐지부지된 일회용 컵 보증금 정책처럼 되진 않을지 혼란스럽단 목소리도 나옵니다.
뒤늦게 국무조정실이 조정에 나섰지만 현장을 고려하지 않은 졸속 행정이란 비판은 피할 수 없게 됐습니다.
[영상취재 이학진 / 영상편집 홍여울 / 영상디자인 조성혜]
Copyright © JTBC.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단독] 홍준표 '여론조사비 대납 의혹' 인물 출국...측근에 “경선 이후, 늦으면 대선 후에 돌아오
- [밀착카메라] 용산이냐, 청와대냐, 세종이냐…시민들의 생각은 | JTBC 뉴스
- 넷플릭스 예능 '대환장 기안장', 정확한 독도 표기…서경덕 "환영할 일“ | JTBC 뉴스
- 문형배가 '등 두드린' 이유? 헌법소장 대행에 김형두 선출 | JTBC 뉴스
- [단독] '건진법사 게이트' 추적...검찰, 윤 부부-통일교 만남 주선 추궁 | JTBC 뉴스
- 국힘 경선 1차 컷오프…김문수·안철수·한동훈·홍준표 진출 | JTBC 뉴스
- [단독] '명품 목걸이' 논란의 순방 직후…통일교, 건진에 "김 여사 선물" 건넸다 | JTBC 뉴스
- [단독]사의 표한 김성훈 휴가…경호처장 직무대리에 안경호 | JTBC 뉴스
- [단독] 김형기 대대장 "'사람에 충성 않는다' 내 상황과 묘하게 맞아" | JTBC 뉴스
- 꾸벅 졸은 윤, 작심 직격 날린 대대장…내란 재판 법정에선 | JTBC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