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년 만에 칸 홀린 인도 독립영화… 뭄바이 사는 여자들
[박꽃의 영화뜰] 영화 '우리가 빛이라 상상하는 모든 것'
[미디어오늘 박꽃 이투데이 문화전문기자]
이토록 세계 영화제의 강력한 지지를 받은 인도 독립영화가 또 있을까. 지난해 무려 30년 만에 칸 영화제 경쟁부문에 공식 초청돼 2등 상인 심사위원대상을 거머쥐었고, 전미비평가협회상을 포함해 각국 영화제 44개 부문에서 수상하는 성과를 냈다. 인도 출신 40대 여성 감독 파얄 카파디아가 연출해 23일 국내 개봉하는 '우리가 빛이라 상상하는 모든 것' 이야기다.
인도 영화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발리우드 작품과는 완전히 다른 모양새다. 작품은 대도시 뭄바이에 사는 세 여인의 삶을 마치 다큐멘터리처럼 현실적으로 묘사하는데, 특유의 과장된 춤사위나 노래는 전혀 찾아볼 수 없고 비현실적인 로맨스나 초현실적인 액션·판타지와 같은 극적인 요소도 완전히 배제했다. 도리어 관조적이고 초연한 태도로 해외의 낯선 관객이 자연스럽게 인도 주인공들의 삶에 다가가도록 이끈다.
세 여인은 모두 돈을 벌기 위해 고향을 떠나와 뭄바이의 한 병원에 취직했다. 독일로 일하러 간 뒤 돌연 연락을 끊어버린 남편을 묵묵히 기다리는 간호사 프라바(카니 쿠스루티), 같은 힌두교인이 아니라는 이유로 이슬람교 연인을 꽁꽁 숨겨야 하는 동료 간호사 아누(디브야 프라바), 20년 넘게 산 집에서 재개발을 이유로 쫓겨날 예정인 요리사 파르바티(차야 카담)는 매일 아침 생존을 위해 일터로 향하고, 그곳에서 자연히 서로의 사정에 귀 기울이게 된다.
제약은 많고 주장할 수 있는 권리는 그다지 없는 삶, 그것이 주어진 운명이다. 프라바는 부모님의 뜻대로 누군지도 모를 남자와 결혼했고 홀로 남겨졌다. 무책임한 가족과 남편을 원망할 법도 하지만 새로운 연애나 재혼은 꿈도 꾸지 못한다. 인도의 억압적인 여성 인권 문제를 상징하는 프라바의 사연은 그가 일하는 산부인과를 찾아오는 여인들의 평범한 일상과도 맞닿아 있다. 20대 초반에 아이를 셋씩이나 낳고도 피임을 당당히 거부하는 남편 때문에 얼굴이 수척해진 한 여인에게 동료 간호사 아누는 피임약을 건넨다.
그런 면에서 아누는 인도 사회의 고지식한 관습을 그대로 지키며 사는 프라바보다 도발적인 면이 있는 인물이지만, 그렇다고 인도의 전통적인 가족제도와 폐쇄적인 계급 제도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는 처지는 결코 아니다. 힌두교인 부모님은 매일같이 타지로 떠난 딸에게 전화를 걸어 같은 맞선을 권유하는데, 그 상대들은 하나같이 카스트 제도권 혼인의 상징과도 같은 지참금을 요구한다. 아누는 카스트와는 별 상관이 없는 이슬람교 남자친구를 사귀고 있지만, 그 사실이 가족에게 알려진다면 상상하기조차 싫은 사달이 날 게 분명하다.
두 간호사보다 나이가 많은 중년의 요리사 파르바티의 사정은 좀 더 절박한 데가 있다. 그는 곧 살던 집에서 쫓겨나 일할 곳 없는 고향으로 돌아가야 한다. 20년 넘게 지내온 터전이 인도 부유층의 전유물인 고층 빌딩으로 재개발될 예정이라서다. 그것은 젊은 시절 기반 없이 대도시 뭄바이로 흘러들어온 경제적 취약계층 대부분이 마주하게 되는 씁쓸한 최종장일 것이다. 극심한 빈부격차라는 근본적인 사회 문제를 개인의 의지만으로는 극복하기 어려운 까닭이다.
그간 발리우드 영화가 스타 캐스팅과 과장된 흥취로 이런 종류의 현실 문제를 잠시나마 잊게 하며 일종의 환각제로서 사랑받을 수 있었다면, 이번 영화는 그 유희의 가면 뒤로 진짜 인도 사람들이 어떻게 살아가는지를 드러내는 담대한 접근을 보여준다는 데 의미가 있다. 바닥에 가까운 여성 인권, 비인간적인 카스트 제도, 넘어설 수 없는 빈부 격차… 인도 사회문제의 핵심을 고루 건드리는 이야기가 온전히 담긴 데에는 물론 인도 자본에 의존하는 대신 독립·예술 영화가 발달한 프랑스 등 유럽 영화계와 공동 제작한 영향도 있을 것이다.
주목할 만한 건, 그럼에도 그 모든 인물의 사연을 애정어린 온도로 다뤄내는 감독의 시선이다. 짧은 여행길에 오른 세 여인이 나누는 무언의 우정이 작품의 연대 정서를 분명히 하는 가운데, 영화는 이들 각각의 갈등을 섣불리 폭발시키거나 불쑥 희망적인 결론으로 이야기를 맺어버리는 손쉬운 접근 대신 마지막까지 무던한 태도를 유지하는 쪽을 택한다. 이 단정함은 고단하고 초라한 현실 안에서도 부단히 살아내려 하는 이들의 덤덤한 의지를 대변한다는 점에서 사려 깊다. 이 작품이 세계 영화인의 마음을 움직일 수 있었던 이유일 듯싶다.
Copyright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자 폭행 불거졌는데…국힘 ‘언론 탄압’ 외면한 언론사들 - 미디어오늘
- 방통위원 때 분리징수 반대 단식까지…“원복 반신반의했다” - 미디어오늘
- 김문수 안철수 한동훈 홍준표 2차 경선 통과…나경원 탈락 - 미디어오늘
- 티캐스트 E채널 구성원들 “자체제작 중단, 제작팀에 책임 전가” - 미디어오늘
- YTN, 언론장악 청문회 증인 채택에 “언론 길들이기” 반발 - 미디어오늘
- [영상] 명태균게이트 조사단장 서영교 “홍준표, 가장 좋은 날 법적 조치” - 미디어오늘
- 고건 손학규 합류? 아무도 안나타난 한덕수 추대위…尹파면 반성도 없어 - 미디어오늘
- 민주당 방송콘텐츠특위 출범 “이달 정책 발표하고 새 정부서 실현” - 미디어오늘
- TBS 구성원들 “‘오세훈 방지법’ 만들겠다” - 미디어오늘
- 일요시사 “문형배 부친이 김장하와 친구 사이” 오보 - 미디어오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