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경제 잘못되면 파월 탓으로 돌릴 준비 착착"…WSJ

김재영 기자 2025. 4. 22. 19:1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미국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일방적 관세 부과에 이어 제롬 파월 연준 의장에 대한 파면 위협을 내지르자 미국 주가와 달러 가치가 연일 크게 떨어지고 있다.

이 상황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관세 전쟁으로 미국 경제가 나빠지는 모습이 확실해질 경우 파월 의장 및 연준의 책임으로 몰고갈 의도를 내비치고 있다고 21일 미 월스리트저널 지가 말했다.

트럼프는 4월 2일 전세계를 대상으로 한 일방적 상호관세 부과율을 통고했으며 이때부터 미국 주가와 달러 가치가 흔들렸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워싱턴=AP/뉴시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전방위적인 관세 정책을 밀어붙이면서 취임 100일도 채 안돼 미국이 약 80년간 공 들어 구축한 세계질서를 무너뜨렸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사진은 21일 백악관에서 열린 부활절 행사에 참석한 트럼프 대통령의 모습. 2025.04.22

[서울=뉴시스] 김재영 기자 = 미국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일방적 관세 부과에 이어 제롬 파월 연준 의장에 대한 파면 위협을 내지르자 미국 주가와 달러 가치가 연일 크게 떨어지고 있다.

이 상황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관세 전쟁으로 미국 경제가 나빠지는 모습이 확실해질 경우 파월 의장 및 연준의 책임으로 몰고갈 의도를 내비치고 있다고 21일 미 월스리트저널 지가 말했다.

미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가 기준금리를 신속하게 내리기 않아서 만단의 사태가 터졌다는 것이다.

동시에 트럼프는 지금까지 독립성을 견지해온 연준의 '법적 기반을 무너뜨릴' 태세까지 취하고 있는데 이로 해서 연준의 효율성이 아주 약해질 수 있다는 진단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도 소셜 미디어를 통해 연준이 당장 금리를 내려야 한다는 최근 주장을 되풀이했다. "실제 인플레는 없다"면서 파월 연준 의장을 "늦어도 너무 늦은 양반" 및 "루저 중 루저"라고 비꼬았다.

미 연준은 11차례 인상하고 8차례 연속 동결해온 연방기금의 기준금리를 지난해 9월 첫 인하했고 11월과 12월에 연속해
이 금리의 타깃 범위가 4.25~4.50%로 내려왔다.

연준은 9월 2.4%까지 내려왔던 소비자물가지수(CPI) 연 인플레가 이후 상승해 올 1월 3.0%, 2월 2.8%를 기록한 가운데 1월 말 그리고 2월 인플레가 발표된 직후인 3월 중순 금리를 연속 동결했다.

트럼프는 4월 2일 전세계를 대상으로 한 일방적 상호관세 부과율을 통고했으며 이때부터 미국 주가와 달러 가치가 흔들렸다.

60개국이 11~50%의 관세를 부과당해 평균 3% 정도이던 미국의 관세가 20%가 넘게 되었다. 트럼프는 9일 시행 반나절만에 중국만 제외하고 상호관세 대신 10%의 보편관세만 매긴다고 물러섰으나 시장은 안정되지 않았다.

시장이 흔들리고 주가가 크게 하락하자 트럼프는 파월 의장과 연준이 금리를 내리지 않아서 이 지경이 되었다면서 파월 의장의 파면을 노골적으로 시사했다.

트럼프는 나아가 연준이 지난해 가을 2024 대선에 영향을 끼치려고 금리를 연속 인하했다고 비난했다. 트럼프는 철자까지 틀리면서 "파월은 언제나 너무 느렸다, 선거 기간에 조 바이든과 그 뒤의 카멀라를 돕기 위해 내렸던 때를 빼고선 느려터졌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kjy@newsis.com

Copyright ©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