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금만 받아요' 그만…독일 디지털 결제 의무화 추진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독일 차기 정부가 모든 음식점에서 신용카드나 스마트폰으로도 결제할 수 있도록 제도를 손보기로 했다.
SPD의 재정정책 대변인 미하엘 슈로디는 "2025년 독일에서도 결제수단의 진정한 자유를 보장하는 게 당연하다"고 말했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비접촉 결제 수단이 널리 퍼졌지만 여전히 전체 결제 거래의 절반 정도가 현금이다.
그러나 비현금 결제를 의무화한 이탈리아는 같은 기간 부가가치세 수입이 52%, 그리스는 66% 증가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베를린=연합뉴스) 김계연 특파원 = 독일 차기 정부가 모든 음식점에서 신용카드나 스마트폰으로도 결제할 수 있도록 제도를 손보기로 했다.
22일(현지시간) 일간 프랑크푸르터알게마이네차이퉁(FAZ)에 따르면 기독민주당(CDU)·기독사회당(CSU) 연합과 사회민주당(SPD)은 연립정부 협약에 '현금과 최소 한 가지의 디지털 결제 옵션을 단계적으로 제공하도록 노력한다'고 명시했다.
SPD의 재정정책 대변인 미하엘 슈로디는 "2025년 독일에서도 결제수단의 진정한 자유를 보장하는 게 당연하다"고 말했다.
독일은 아직도 현금을 선호하는 나라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비접촉 결제 수단이 널리 퍼졌지만 여전히 전체 결제 거래의 절반 정도가 현금이다. 분데스방크(독일 중앙은행) 설문에서 응답자 3명 중 2명은 15년 뒤에도 지금처럼 현금을 사용하고 싶다고 답했다.
차기 정부가 요식업 부가가치세율을 현재 19%에서 7%로 내리기로 하면서 부족해질 세수를 메꾸려는 의도도 있다. 카드나 디지털 결제를 거부하는 식당이 많아 세수가 샌다는 것이다. 현금 결제 관행 탓에 덜 걷히는 세금은 연간 150억유로(24조6천억원)를 넘는 것으로 추산된다.
2015년부터 작년까지 10년간 독일 국내총생산(GDP)이 41% 증가하는 동안 부가가치세 수입은 39% 늘어나는 데 그쳤다. 그러나 비현금 결제를 의무화한 이탈리아는 같은 기간 부가가치세 수입이 52%, 그리스는 66% 증가했다. 10년간 두 나라의 GDP 증가율은 30%대였다.
dada@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태안서 해루질하던 부부 밀물에 고립…50대 아내 심정지 | 연합뉴스
- 휠체어 탄 남성, 라이터로 배달 음식 포장 뜯으려다 3도 화상 | 연합뉴스
- 윗집에 수차례 물품 놓아둔 현직 경찰…"스토킹 혐의로 입건" | 연합뉴스
- 법원, 아파트서 초등생 숨지게한 재활용품차 운전원에 금고4년 | 연합뉴스
- 추가 모집 마감 코앞인데…사직 전공의 60%, 의원 등에 '재취업'(종합) | 연합뉴스
- 스위스 체르마트 인근서 스키어 5명 시신 발견 | 연합뉴스
- 브리트니 스피어스, 기내 흡연으로 경고받자 승무원 비난 | 연합뉴스
- 방탄소년단, 내달 7명 전원 군복 벗는다…완전체 컴백은 언제 | 연합뉴스
- 하룻밤 사이 등장한 거대 조경석…입주민도, 누리꾼도 와글와글 | 연합뉴스
- "비트코인 지갑 암호 내놔"…뉴욕 호화아파트에 가두고 전기고문 |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