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재택근무 0.5일…40개국 중 '꼴찌'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한국 직장인의 재택근무 일수가 전 세계 40개국 중 가장 적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최근 스탠퍼드대 경제정책연구소(SIEPR)가 지난해 11월부터 지난 2월까지 40개국 출신 대졸 근로자 1만6422명을 대상으로 '일주일 재택근무 일수'를 조사한 결과 한국인이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한국은 0.5일에 그쳐 40개국 중 재택근무 일수가 가장 적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국 직장인의 재택근무 일수가 전 세계 40개국 중 가장 적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최근 스탠퍼드대 경제정책연구소(SIEPR)가 지난해 11월부터 지난 2월까지 40개국 출신 대졸 근로자 1만6422명을 대상으로 '일주일 재택근무 일수'를 조사한 결과 한국인이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 세계 일주일 평균 재택근무는 1.2일이었다. 재택근무 일수가 가장 긴 곳은 캐나다로 일주일 중 1.9일을 집에서 일을 한다고 답했다. 뒤이어 영국이 1.8일로 두 번째로 재택근무 일수가 길었고, 핀란드는 1.7일로 나타났다. 이밖에 1.6일인 곳이 미국, 독일, 인도가 있었으며 폴란드와 아일랜드, 나이지이라가 1.5일로 동일했다.
반면 한국은 0.5일에 그쳐 40개국 중 재택근무 일수가 가장 적었다. 중국과 독일이 0.6일로 두 번째로 가장 적은 재택근무 일수를 기록했으며 일본도 0.7일에 머물렀다.
대륙 별로 보면 아시아보다는 북아메리카와 유럽에서 재택근무가 회사로 출근하는 것보다 더 보편적인 근무 형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연구진은 국가 별로 코로나19 대응, 재정 수준 등이 다른 점을 짚으면서도 가장 큰 이유는 개인주의적인지, 집단주의적인지에 따른 문화적 차이라고 분석했다. 개인주의적 사회일수록 재택근무를 더 하고, 집단주의가 강할수록 재택근무를 덜 하는 추세가 뚜렷했다는 것이다.
실제로 연구진이 네덜란드의 심리학자 헤이르트 홉스테드가 개발한 '홉스테드 문화지수'를 활용해 집단주의 정도와 재택근무 비중 간 연관성을 좌표로 찍었더니 한국은 집단주의가 가장 강하면서 동시에 재택근무를 가장 덜하는 것을 의미하는 맨끝에 좌표가 찍혔다.
해당 연구결과를 다룬 영국 주간지 이코노미스트는 "육아를 직장 생활과 양립할 수 있게 되면 장기적으로 출산율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재택근무의 긍정적인 면을 언급하면서도 "사람들을 좀 더 외롭게 만들고 있다"며 동료를 만나고 생각을 공유하는 기회가 줄어들 수 있다는 부정적인 면도 짚었다.
윤혜주 기자 heyjude@mt.co.kr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 "女연예인 성접대, 3명 동시에 만나…금액도 들었다" 신정환 폭로 - 머니투데이
- "코까지 골며 잤는데"…故강수연 56세에 돌연사, 원인은 - 머니투데이
- 김부선 "이재명, 퐁당 빠질만큼 매력적…홍준표, 보수 얼굴에 똥칠" - 머니투데이
- "사진 찍지마"…'성범죄 혐의' 아이돌, 재판 앞두고 여성과 술자리 - 머니투데이
- "유부녀를 '노예'로 부르며 알몸 촬영"…태국 유튜버 불륜 논란 - 머니투데이
- 김문수, 박근혜 생각에 울컥…"지켜드리지 못했다" 눈물 글썽 - 머니투데이
- 트럼프 강수에…벨기에 '승계 서열 1위' 공주도 하버드 쫓겨날 판 - 머니투데이
- 국산 신차 '5300만원'인데 중고는 '7000만원'?…누가 사가나 했더니 - 머니투데이
- 프레디 머큐리, 숨겨진 딸 있다?…"친구 아내와 불륜, 측근들 알고 있어" - 머니투데이
- "이번엔 진짜 올라" 흥분 못 감춘 개미들 '빚투'…정치테마주 점령 - 머니투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