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셀 아메리카' 글로벌 투자, 미국 떠난다…"美 금융패권 흔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연합뉴스 자료사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취임 후 글로벌 투자자들이 미국 자산을 매도하는 '셀 아메리카'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고 블룸버그가 평가했습니다.
전방위적인 관세 전쟁을 본격화한 이후 미국의 주가와 국채 가격, 달러화 가치가 트리플 약세를 보이면서 일각에서는 미국의 금융 패권이 흔들리고 있다는 진단마저 나오고 있습니다.
현지시간 21일 블룸버그통신은 트럼프 대통령이 이날도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을 상대로 기준금리 인하를 거듭 압박하며 충격파가 증폭됐다면서, 미국 자산의 펀더멘털과 미국의 경제 우위에 대한 재평가가 이뤄지고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올해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지수가 12.3% 하락하는 등 미 증시가 부진한 가운데, 그동안 대표적 안전자산으로 여겨져온 달러화와 미 국채 가격이 동시에 약세를 보이는 상황입니다.
주요 6개국 통화(유로화·엔화 등) 대비 달러 가치를 보여주는 달러인덱스는 올해 9% 넘게 떨어졌습니다. 시장금리의 벤치마크인 10년물 미 국채 금리는 이달 초 3.85%를 찍은 뒤 4.58%까지 치솟았고 4.4% 수준에서 움직이고 있습니다.
글로벌 투자자들이 미국 자산을 매도하는 이른바 '셀 아메리카'처럼 보인다는 게 블룸버그 평가입니다.
아폴로 매니지먼트의 토르스텐 슬록 수석 이코노미스트에 따르면 외국인들은 미국 주식 19조 달러(약 2경7천조원), 미 국채 7조 달러(약 1조원), 미 회사채 5조 달러(약 7천조원) 상당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는 전체 시장의 20∼30% 비중인 만큼, 이들이 자산 처분에 나설 경우 큰 충격이 불가피하다는 설명입니다.
JP모건 자산운용의 데이비드 켈리 수석 전략가는 "고도의 보호주의적 정책으로의 갑작스러운 전환에 따른 미국의 평판 손상을 생각해보라"면서 미국 정책에 대한 신뢰 하락은 미국 자산에 대한 지불 용의 가격을 낮출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다만 블룸버그는 1971년 금본위제 폐지, 2008년 금융위기 때도 미국의 신뢰도에 구멍이 난 적이 있지만 이를 복구했다고 짚었습니다.
미국 자산에 대한 신뢰가 흔들린다고 하더라도 단기간에 대안을 찾기도 어렵다는 평가도 있습니다.
29조 달러(약 4경1천조원)에 가까운 미 국채 시장을 대체할 자산은 없고, 달러는 외환 거래의 90%와 각국 중앙은행 외환보유고의 60%가량을 점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에스와르 프라사드 코넬대 교수는 탈달러 움직임에 대해 "곧 한계에 직면할 것"이라면서 미국 금융시장과 달러에 만만찮은 경쟁 상대가 없다고 지적했습니다
저작권자 SBS미디어넷 & SBSi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SBS Bi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백발 아빠는 일하고 청년 아들은 백수'…이유 물어보니
- K-방산에 외국인 대표이사?…정부, 보안대책 연구 착수
- 관식이가 잡던 오징어 어디로?…금징어 된 오징어
- '불량 기름' 만들어 판 일당 적발…검찰 송치
- 홈플 부동산 펀드 출자자 1000억 떼일라 좌불안석…무슨 일
- 트럼프, 파월 때리기 공포…글로벌 자금 美 탈출
- 유류세 인하폭 축소…휘발유 리터당 40원·경유 46원 올라
- 외국인, 지난달 한국 주식 1.7조 팔아…8개월째 순유출
- "국내 보험계약 유지, 해외보다 낮아"…금감원, 유지율 관리·감독 나선다
- 은행 대출조건 담합 사실?…공정위 역대급 과징금 때린다